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 TV 시장에서 1위 자리를 지키며 18년 연속 1위 기록에 한 걸음 다가섰다. LG전자는 11년 연속 올레드(OLED) TV 시장 1위를 눈앞에 뒀다.
21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의 3분기 글로벌 TV 시장 실적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매출 기준 점유율 29.9%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 1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동기 27.5% 대비 2.4%p 오른 수치다. 삼성 TV는 수량 점유율에서도 18.3%를 기록하며 1위를 유지했다.
글로벌 TV 시장 수요가 전년보다 줄었으나 삼성 TV는 네오QLED 등 라이프스타일·초대형·OLED 등 프리미엄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면서 2006년 이후 18년 연속 업계 1위 기록을 눈앞에 뒀다.
삼성은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제품 시장에서 전년동기인 45.8% 대비 16.2%p 늘어난 62.0%의 매출 점유율을 기록했다. 75형 이상 초대형 시장에서도 34.8%의 점유율로 1위 자리를 지켰다. 특히 98형 라인업 확대를 통해 80형이 넘는 제품에서도 40.4%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LCD 기반 QLED TV는 글로벌 시장에서 올해 1∼3분기 1,094만대가 판매되며 프리미엄 TV 시장의 주력 제품임을 확인했다. 네오QLED를 앞세운 삼성 QLED TV는 올해 1∼3분기 584만대가 판매됐다. 삼성 QLED는 2017년 처음 시장에 선보인 이후 올해 3분기까지 누적 판매 4천만대를 돌파했다.
LG전자는 전세계 올레드TV 시장에서 확고한 1위를 지켰다. 올해 1∼3분기 LG 올레드TV 출하량은 203만6800대로 올레드TV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점유율 55%를 차지했다.
LG전자는 “75형 이상 초대형 올레드TV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6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지난 8월 세계 최초 4K·120Hz 무선 전송 솔루션을 적용한 97형/83형/77형 등 무선 올레드TV 시리즈를 북미·유럽시장에 출시하며 초대형 프리미엄TV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북미·유럽 등 프리미엄TV 시장을 중심으로 초대형 TV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전체 올레드TV 시장에서 75형 이상 초대형 TV가 차지하는 금액 비중은 3분기 누적 기준 25%를 넘어섰다.
올레드·LCD를 포함한 LG전자의 전체 TV 출하량은 1,629만7800대로 집계됐다. 전체 TV 시장 내 점유율은 금액 기준 16.4%다.
LG전자는 프리미엄 LCD TV인 LG QNED TV와 LG 나노셀 TV를 앞세워 고색재현(WCG) LCD TV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LG전자는 QNED TV를 내세워 퀀텀닷 LCD TV 시장에서 올 3분기 누적 기준 점유율(금액) 14.6%로 2위를 기록했다. 고색재현 기술 가운데 나노셀 물질을 활용하는 LG 나노셀 TV는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LG전자는 올해 미니LED를 탑재한 QNED 에보(evo)를 포함해 해상도(8K/4K), 크기(86/75/65형), 사양 등에 따라 총 22종의 QNED TV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올해 들어 3분기까지 글로벌 TV 시장의 누적 출하량은 1억4327만7000대로 전년동기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관련기사
- LG전자, 모오이(Moooi) 디자인 더한 ‘LG 오브제컬렉션’ 출시
- 삼성·LG전자, ‘한국전자전’ 동시 출격…스마트홈·가전 미래기술 선봬
- LG전자 “웹OS 생태계 확장, 미디어&엔터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
- 삼성·LG전자, 獨 IAA 동시 출격…미래 먹거리 ‘전장사업’ 입지 확대
- 삼성, 98형 네오QLED 8K 국내 출시
- 한국레노버, 인텔 Evo 인증 랩톱 ‘8세대 요가’ 신제품 3종 출시
- 기계연, 신축성 메타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개발
- LG전자, 미니LED 적용한 프리미엄TV 제품군 ‘QNED 미니LED’ 순차 출시
- LG전자, 사내벤처 6개 팀 선정…“사업성 검증 후 스핀오프”
- 삼성, 부회장급 미래사업기획단 신설…한종희·경계현 체제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