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 산업 매출액은 69조3000억원으로 전년동기비 2.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23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국내 콘텐츠산업 11개 분야 1,500개 사업체의 실태조사 및 159개 상장사 자료 분석을 통해 매출·수출·고용 등 주요 산업규모를 포함한 2023년 상반기 동향을 분석한 내용을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동기비 2.5% 증가한 약 69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영향으로부터 회복하는 추세가 이어지며 ▲음악(15.2%) ▲영화(12.3%) 산업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애니메이션(8.6%) ▲만화(6.0%) 산업이 그 뒤를 따랐다.
음악산업은 K-팝 팬덤 중심의 실물 음반 시장 활성화 및 포토카드, 화보집 등 관련 상품 수집 증가로 대형 엔터테인먼트사 중심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반면, 영화산업의 매출액 증가는 전년비 올 상반기 개봉작 수가 늘어 발생한 것으로 매출 규모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전년동기비 1.3% 증가한 약 53억9000만달러로 파악됐다. 특히 ▲만화(71.3%) ▲출판(31.7%) ▲음악(29.2%) 산업 수출이 크게 늘면서 국내 콘텐츠산업의 수출 규모 확대를 견인했다.
2023년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동기비 0.5% 감소한 61만7000명으로 파악됐다. ▲애니메이션(6.9%) ▲만화(5.1%) 분야의 종사자는 증가했으나 ▲영화(-4.9%) ▲방송(-3.2%)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산업은 전년동기비 큰 변화가 없었다.
관련기사
- 1월 1주차 콘텐츠 통합 랭킹…임시완 ‘소년시대’ 1위 재탈환
- [그것을 알려주마] 콘텐츠 트렌드를 견인하는 ‘미드폼’이 주목받는 이유
- 2023년 가장 주목받은 영화·드라마·OTT는 디즈니+ ‘무빙’
- 콘진원, OTT 콘텐츠 특성화 대학원 지원사업 성과발표회 성료
- “스마트TV, 더 똑똑해졌다”…LG전자, 2024년형 QNED TV 공개
- 다음 뉴스 개편…“모바일 첫 화면, 구독 언론사로 개인화”
- ‘갤럭시S24’ 조기 출시설…‘픽셀’ 이은 두 번째 생성AI폰 기대감 증폭
- “국민 10명 중 8명 OTT 본다”…콘텐츠 적극 소비층 ‘1030세대’ 주목
- 생성AI 고도화, 사이버공격 트렌드 변했다…“AI 기반 공격 크게 늘 듯”
- 콘진원, 450억원 규모 ‘2024년 문화체육관광 연구개발사업’ 공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