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총 5,770억원을 투입, 56개 지방 디지털혁신 사업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의 체계적인 이행을 위해 관련 예산을 지난해보다 237억원 늘렸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지털 혁신지구 등 거점 조성에 531억원,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융합·확산에 1,408억원, 지역사회 포용에 1,656억원, 디지털 인재 양성에 2,175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비수도권 소재 디지털 거점 구축을 목표로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 시범지역으로 지난해 부산 센텀시티와 대구 수성알파시티 2곳을 선정한 데 이어 올해 2곳의 시범지역을 추가 선정할 예정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시범지역의 경우 3년간 초기기반 구축과 병행해 지방정부의 중장기 조성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혁신지구로의 성장가속화를 위한 대형사업도 지방정부와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제조·농업·물류·어업·의료 등 부문별로 각 지역 디지털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16개 사업에는 761억원을 투입한다. 강원권 디지털 의료, 영남권 제조 AI 융합, 호남권 스마트 농업 등 권역별 특화 분야를 정했다.
스마트빌리지 사업에는 지난해 대비 407억원 늘어난 1,039억원을 배정했다. 스마트빌리지는 여러 디지털 기술을 지역사회에 적용하여 생활SOC 개선, 농어촌 생산성 향상, 어르신 복지 및 건강관리(스마트경로당) 등에 기여하는 디지털 서비스다.
최근 지자체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규모가 급성장한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2019년 이후 올해까지 누적 총 224개 과제가 지원될 예정이다. 이 중 우수사례는 향후 전국으로 확산되도록 홍보활동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 올해 전체 지방 디지털혁신 사업 중 지방정부가 제안하는 상향식 사업의 비중을 52.5%(예산 기준)로 늘리기로 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 “올해는 지방 곳곳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며 “지방정부와 체계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 5,770억원의 예산이 지방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곳에 쓰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2030년까지 로봇 100만대 보급…정부, 4차 로봇 기본계획 확정
- 정부, 올해 첨단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5,421억원 투입
- 중기부, 올해 中企 수출지원에 2,219억원 투입
- 과기정통부,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 공고…올해 35억원 투입
- 정부·지자체, 올해 창업지원에 3조7121억원 투입
- 12월 수출, 반도체 반등으로 기대감 ‘UP’
- 자동차·배터리 등 국내 주력 업종 DT에 민·관 1,235억 투자한다
- 산업부, ‘K-조선 초격차 기술 얼라이언스’ 출범
- 내년도 산업 R&D 예산 5조800억원…첨단산업·경제안보 예산 증액
- 인공지능(AI) 혁신 주도…정부·업계 대표 한 자리에 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