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세부 산업별 국내외 기업 비교
반도체 글로벌 1위 36.2%…국내 1위는 5.0% 격차 커

[source=pixabay]
[source=pixabay]

산업별 시가총액 글로벌 1위 기업의 순이익률이 국내 1위 기업 순이익률의 2.5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7일 글로벌산업분류기준(GICS)에 따른 137개 세부 산업별 시가총액 1위에 해당하는 국내외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한 결과를 공개했다.

한경협에 따르면, 수익성(매출액 대비 이익) 분석 시 글로벌 1위와 국내 1위의 격차는 EBIT(이자비용·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 기준 영업익률 단계에서 주로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총이익률은 글로벌 1위(44.7%)가 국내 1위(40.6%)의 1.1배 수준이었으나 평균 영업이익률은 글로벌 1위(19.2%)가 국내 1위(9.5%)의 2.0배로 격차가 벌어졌다.

한경협은 “EBIT이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와관리비·연구개발비 등의 운영 비용을 차감한 지표인 것을 감안할 때, 이 비용으로 인해 글로벌 1위와 국내 1위의 수익성 격차가 중점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경협 자료인용]
[한경협 자료인용]

글로벌 1위의 평균 순이익률은 2022년 15.4%로 국내 1위의 6.3% 대비 2.5배 수준이었다. 특히, 글로벌 1위의 2012년 평균 순이익률(10.5%)은 지난 10년간 4.9%p 증가한 반면 2012년 국내 1위 평균 순이익률(5.8%)은 10년간 0.5%p 증가해 순이익률 격차는 2012년 1.8배 수준에서 2022년 2.5배 수준으로 늘었다.

한경협은 순이익률이 EBIT에서 이자비용·법인세비용을 차감한 지표임을 감안할 때, 지난 10년간 국내 1위는 글로벌 1위에 비해 이자 및 조세 부담이 증가해온 것으로 풀이했다.

안정성을 살펴보면 글로벌 1위는 국내 1위 대비 평균 채무비율(D/E 비율)이 1.6배, 평균 유동비율이 0.8배로 글로벌 1위가 더 많은 장·단기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성(자산의 현금화 속도)에서는 글로벌 1위가 국내 1위 대비 평균 매출채권회전율이 0.9배, 평균 재고자산회전율이 1.0배로 재고자산이 유동성으로 연결되기까지의 속도는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2년과 비교 시 글로벌 1위에 비해 국내 1위의 장단기 지급능력은 10년간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1위의 2022년 평균 채무비율은 2012년 대비 12.4%p 감소한 반면, 글로벌 1위는 불과 2.5%p 감소하면서 국내 1위의 타인자본 조달 비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도체 1위 기업 간 순이익률 격차 최대
산업재·소재·에너지 섹터는 국내 1위가 글로벌 1위보다 매출에서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 수익성이 타 섹터 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산업재 섹터의 경우 평균 순이익률(3.4배)에서 격차가 심화됐다. 이는 상대적으로 국내 1위의 법인세·이자비용 부담이 큰 것이 이유”라고 짚었고 “소재 섹터는 평균 총이익률(2.3배)의 격차가 커 매출총이익과 관련이 있는 매출원가 부담이 국내 1위에서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추정했다.

에너지 섹터의 경우 평균 총이익률(3.6배)·영업이익률(3.7배)·순이익률(3.7배) 전부 큰 격차를 보였다.

[한경협 자료인용]
[한경협 자료인용]

한편 한국의 주요 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1위 기업과 국내 1위 기업을 1대1로 비교한 결과 ▲반도체 ▲전자제품 ▲가전제품 ▲자동차 ▲석유제품 등 주요 산업에서 수익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는 글로벌 1위의 순이익률(36.2%)이 국내 1위(5.0%)의 7.3배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내 1위 기업이 글로벌 1위 기업에 비해 수익성이 절반도 안 되는 등 경쟁에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수익성을 확보해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법인세 조정, 투자 및 R&D 인센티브 등의 지원책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비즈뉴스(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