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수출 채산성 전년과 비슷
수출 리스크로 ‘저성장으로 인한 수요감소’ 지목
올해 전체 수출이 전년도 부진에서 벗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미국·중국의 동반 불황,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전세계 경제가 성장 둔화가 예상되며 철강·석유화학 등의 수출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일 한국경제인협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업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24년 수출전망)를 진행한 결과를 인용, 올해 수출이 전년에 비해 증가·비슷(73.3%)할 것이라는 응답이 감소(26.7%)할 것이라는 응답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올해 수출이 전년보다 증가·비슷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0%이상~5%미만이 41.3%로 가장 높았고 ▲5%~10% 15.3% ▲10%~15% 7.3% ▲15%~20% 4.7% ▲20% 이상 4.7%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수출이 전년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5%~0%가 15.3%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5% 5.3%, △15%~△10% 4.7%, △20%~15% 0.7%, △20% 미만 0.7% 순으로 집계됐다.
올해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이 꼽은 주요 이유로는 수출대상국의 수요개선(39.1%), 신사업 발굴 및 사업 다변화 효과(20.9%) 등으로 나타났다.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은 높은 원자재가격 지속으로 수출경쟁력 약화(40.0%), 미·중 등 주요 수출대상국 경기 부진(37.5%)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올해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부품(5.8%) ▲바이오·헬스(5.0%) ▲전기·전자(4.2%) ▲자동차(3.9%) ▲일반기계(3.5%) 순으로 집계되면서 자동차부품의 수출이 가장 약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올해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는 업종은 ▲철강(△0.7%) ▲석유제품(△0.6%) ▲석유화학(△0.2%)으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철강·석유제품·석유화학은 지난해 전체 수출의 21%를 차지하는 주력산업으로 관련 업종 수출 부진 시 국내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초래될 수 있다”며 “중국 중심의 공급과잉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세계경제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국내산업의 구조조정과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 마련과 첨단기술산업 중심의 수출 동력 확보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올해 국내 대기업의 수출 채산성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결과 수출 채산성이 전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66.1%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보다 채산성이 개선(17.3%)될 것이라는 응답과 악화(16.6%)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출 채산성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선박(25.0%) ▲바이오·헬스(24.0%) ▲전기·전자(20.7%) 순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 ▲원자재 수입관세 인하 또는 할당관세 적용품목 확대(25.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법인세 감세 및 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강화(24.6%) ▲환율 안정(19.1%) ▲통상영역 확대를 통한 해외 신수요 창출(12.0%) 등을 지적했다.
한경협은 “자국중심주의 확산과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통상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으로 기업의 통상리스크 대응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올해 수출은 주력 품목인 반도체 등 IT업황이 회복되면서 전년에 비해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 경제의 회복 지연,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 하방 요인도 상존하고 있다”며, “수출 회복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원자재 수입 지원과 투자 세제지원 등을 통해 국내기업의 수출경쟁력을 제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 지난해 외감기업 중 부실기업 4천여개…전년비 10.5% 늘었다
- 마산 ‘제2자유무역지역’ 신규 지정…데이터·AI 첨단기업 집적지로 육성
- 중기부, 中企 2,400여개사에 맞춤형 수출 서비스 종합 지원
- 국내 기업이 올해 주목하는 키워드는 ‘공급망 문제 심화’
- SW의료기기 수입사업자, 창고·실험실 없어도 가능
- 지난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 산업 매출 69조원…전년동기 2.5% 증가
- [그것을 알려주마] 2024년 ICT 정책 톺아보기
- 산업부, ‘K-조선 초격차 기술 얼라이언스’ 출범
- “IPEF가 가져올 통상질서…韓, 주도적 역할 필요”
- ETRI, 3kV급 산화갈륨 소재·소자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