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 실시간 통역 서비스 가능, 향후 지원 언어 확대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동시통역 솔루션 ‘트랜스 토커’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트랜스 토커가 지원하는 언어는 한국어를 비롯해 영어·일본어·중국어·아랍어 등 총 13개다. SK텔레콤은 고객 반응과 요구사항 등을 반영해 지원 언어를 추가할 계획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투명 스크린 앞에 설치된 마이크에 본인의 언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번역된 문장이 안내데스크 담당자 스크린에 표시된다. 담당자가 한국어로 답변하면 이 내용이 실시간으로 관광객 언어로 변환돼 모니터에 나타나는 방식이다.
트랜스 토커는 투명LED와 주위 소음을 최대한 제거하는 지향성 마이크, PC 등으로 구성된다. AI 기반 동시통역을 위해 K-AI얼라이언스 멤버사인 코난테크놀로지와 함께 음성인식(STT), 자연어처리(NPU), 번역 엔진, 대규모언어모델(LLM) 등의 기능을 적용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외국인의 쇼핑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SK텔레콤과 솔루션 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에비뉴엘 잠실점 1층과 롯데월드몰 지하 1층 안내데스크에 트랜스 토커를 설치했다.
SK텔레콤은 이를 시작으로 동시통역 서비스가 필요한 다양한 기업 고객을 확보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현재 클라우드 기반으로 트랜스 토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나 향후 보안을 중시하는 기업·공공기관에서 도입할 수 있도록 자체 IT인프라 기반 구축형 모델을 출시하고 온디바이스형AI 통역 솔루션도 개발할 예정이다.
신용식 SK텔레콤 엔터프라이즈AI CO 담당(부사장)은 “다양한 언어 지원과 실시간 통역이 트랜스 토커가 지닌 가장 큰 장점”이라며, “소규모 사업자도 낮은 비용에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운영과 관리를 대행하는 서비스를 향후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메타, 대규모언어모델(LLM) 차세대 버전 ‘라마3’ 정식 공개
- 문서에서 AI 데이터 추출 가능…한컴, ‘데이터 로더’ 글로벌 출시
- 현장형 AI인재 전문가 키운다…SKT, ‘AI 펠로우십 6기’ 모집
- 美 실리콘밸리 찾은 LGU+ 황현식…“AI기술 혁신의 핵심은 인재”
- 네이버클라우드과 원티드랩과 MOU…하이퍼클로바X 기반 LaaS 서비스 협력
- 한컴, 포티투마루에 전략적 투자…AI 고도화·신사업 시너지 확장
- 인공지능(AI) 이슈, IT시스템 시장에도 변혁 부른다
- 쏘카 AI팀 제안 AI연구, ‘EMNLP 2023’서 우수논문 선정
- 민감정보 유출 없이 챗GPT 사용…파수, ‘AI-R DLP’ 서비스 출시
- 홈 라이프 활용성 강화…삼성, 2024년형 스마트모니터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