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시장 선제 대응, 내부 보안·IT보안정책 최상급 평가
KT가 소프트웨어(SW)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에 대해 ISO/SAE 21434에 기반한 사이버보안관리체계(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CSMS)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했다고 23일 전했다.
ISO/SAE 21434는 자동차의 소프트웨어 설계부터 개발·테스트·양산 후 단계까지 사이버보안 프로세스와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국제표준이다. KT는 글로벌 제품 안전 인증기관인 UL솔루션스로부터 소프트웨어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의 사이버보안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최근 해킹 등 사이버위협을 활용한 도난, 운행 방해 등의 해외사례가 지속 발생하는 만큼 보안 역량은 중요해지고 있다.
KT는 AI 활용 데이터 분석 등 AX 역량을 활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및 교통 관제 솔루션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을 운영 중인 만큼 사이버보안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사이버보안관리체계와 관련해 유럽은 2022년 7월부터 56개 협약국에 신차를 출시하기 위해 인증을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며 올해 7월부터 생산·판매되는 모든 자동차에 규제가 적용된다.
우리나라도 올해 2월 자동차 관리법 개정안을 통해 사이버보안관리체계 의무화가 공표됐고 2025년 하반기 신차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KT는 “이번 사이버보안 소프트웨어 산출물과 관리체계, 차량 모의 해킹 테스트 등을 통해 내부 보안 역량을 증명했고 자체 보유한 네트워크 및 플랫폼을 위한 IT보안정책에 대해 최상급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KT 모빌리티사업단장 최강림 상무는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시대를 맞아 글로벌 수준의 안전한 사이버보안이 적용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KT는 ISO/SAE 21434 외에도 품질경영시스템국제표준(ISO9001),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서(ISMS/ISMS-P), 정보보안경영시스템(ISO27001) 등의 IT보안 인증을 확보하고 있다.
관련기사
- 韓 주도 ‘AI 안전성·신뢰성 지원 데이터 품질 평가’ 국제표준 승인
- 로그프레소, “해외진출 기업 현지 사이버공격 ‘주의’ 필요”
- 기업 10곳 중 9곳 “2회 이상 아이덴티티 침해 경험”
- 디도스(DDoS) 공격 위험성 커졌다…“AI 악용으로 재무장”
- S2W, ‘SIS 2024’서 AI-보안 융합기술 트랜드 공유
- 오픈소스 툴 활용한 APT 공격 성행 ‘주의보’
- 과기정통부, 잇따른 카카오톡 장애 관련 시정조치 요구
- 제1차 SW 공급망 보안 포럼…과기정통부 “가이드라인 확산안 논의”
- 과기정통부, 2024년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 기업’ 발표
- LGU+, 웹 기반 차량용 게임 서비스 첫 상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