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초연구사업 가운데 국내 최고 연구자와 연구집단을 지원하는 사업인 ‘글로벌 리더 연구’와 ‘국제 선도연구센터’의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리더 연구자는 9명, 선도연구센터는 18개 연구집단이 최종 선정됐다고 전했다. 연구비는 지도자급의 경우 9년간 총 616억원, 선도연구센터의 경우 최장 10년간 총 3,453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도자급 연구는 과기정통부의 우수한 개인을 지원하는 개인 기초연구사업 가운데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연구자의 심화 연구를 집중 지원하는 사업이다. 연평균 8억원 규모로 9년간 지원하게 된다.
올해는 접수된 110명의 연구자 중에서 연구의 창의성 및 도전성, 연구자의 우수성 등을 심층 평가해 총 9명이 최종 선정됐다.
자연과학 분야의 경우 ‘고심도 광학 이미징 연구’의 고려대 최원식 교수, ‘딥러닝 기반 통합 모델 개발을 통한 기후 변화 연구’의 서울대 함유근 교수, ‘설계로 구현하는 비중심대칭 재료 물질’의 서강대 옥강민 교수가 선정됐다.
생명과학 분야는 ‘원형 RNA 연구’의 카이스트(KAIST) 김윤기 교수, ‘레독스 후성 유전체-전사체 변형 연구단’의 고려대 지성욱 교수가 선정됐다. 의약학 분야 선정자는 ‘자가면역성 관절염에서 키메라 림프구의 특성과 기능연구’의 가톨릭대 김완욱 교수다.
공학 분야는 ‘태양에너지 및 폐열 활용을 위한 고발전량 근접장 열광전변환 모듈’의 카이스트 이봉재 교수, ‘인체공학적 전자소자용한계극복형 차세대 전도성 고분자 개발’의 카이스트 김범준 교수가 선정됐으며, 정보통신기술·융합의 경우 ‘가상 3차원 공간 생물학’의 카이스트 박용근 교수가 선정됐다.
선도연구센터 사업은 과기정통부의 우수연구 집단을 지원하는 집단연구 사업 가운데 10인 내외 연구자들을 지원하는 중규모 공동연구 사업이다. 사업비는 분야별로 연평균 14억원에서 20억원 규모이며, 7년간 지원하게 된다.
올해 접수된 98개 연구집단 중에서 연구의 창의성·원천성, 공동연구진의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14개교, 18개의 센터를 선정했다.
이학분야(SRC)는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의 ‘양자 각운동량 동역학센터’를 비롯해 4개의 센터가 선정됐다. 연 20억원을 지원받는 공학분야(ERC)의 경우 한국과학기술원의 ‘국제 생체융합 인터페이싱 소재 센터’를 필두로 4개의 센터가 선정됐다.
기초의과학 분야(MRC)의 경우 성균관대의 ‘환자맞춤형 면역항암치료 연구센터’를 시작으로 4개의 센터가 선정됐으며, 연 15억원을 지원받는 지역혁신분야(RLRC)의 경우 제주대의 ‘그린수소 글로컬 연구센터’ 등 2개 센터가 선정됐다.
혁신분야(IRC)는 3대 전략 분야에 4개의 센터가 선정됐다. 첨단 바이오 분야에 광주과학기술원의 ‘인공지능 기반 중대 분자 연구센터’, 부산대의 ‘휴머노이드 후각디스플레이센터’가 선정됐으며, 차세대 통신 분야에 한양대의 ‘한양-MIT Beyond-G 혁신센터’와 양자 분야에 서울대의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센터’가 선정됐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선정된 연구자·연구그룹이 성장해 세계 과학기술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내년도 기초연구사업은 역대 최대 규모인 2조9400억원으로 편성할 계획으로 미래 세대 성장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올해 상반기 中企 대상 스피어피싱·서버해킹 급증 ‘주의보’
- 과기정통부·디플정위, DPG AI 혁신 서비스 개발 본격화
- “크라우드스트라이크발 대란, 국내 피해기업 복구완료”
- 韓 주도 ‘AI 안전성·신뢰성 지원 데이터 품질 평가’ 국제표준 승인
- 청정수소 생산 100% 국산화…‘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공식 출범
- 잡아당겨도 고화질 유지…국내 연구진, 신축형 OLED 구현 기술 개발
- 디지털 분야 해외석학 유치 확대…전문가 확보에 100억원 투입
- 국내 연구진, 비정형 에너지 저정장치 최적화 섬유기술 개발
- ETRI, 핀란드 오울루 대학과 6G 기술 개발 협력
- 경기혁신센터, 23번째 ‘스타트업815IR-연합’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