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진수 기자] 서울시가 2035년까지 중랑·난지·서남·탄천물재생센터에 국내 최대 규모인 총 180MW급의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환상망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29일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환상망 구축은 서울시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물재생센터 비전 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올해부터 중랑물재생센터에서 시범사업을 시작해 중랑 50MW, 서남 60MW, 난지 30MW, 탄천에 40MW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하게 된다. 해당 사업에는 약 1조800억원이 투입되며 민간 도시가스사업자가 전액 투자한다.

민간 사업자는 연료 전지 등 시설물 설치와 운영관리를 맡게되며 서울시는 사업부지와 행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도입하는 신재생에너지 환상망은 물재생센터 내 하수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바이오가스를 수소연료전지의 연료로 활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데 화석연료보다 온실가스 발생량이 40%가량 적다. 초미세먼지 생성 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NOx)과 온실가스(CO2)도 나오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서울시는 신재생에너지 환상망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 없이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해 전기는 가정에 공급하고 열에너지는 센터 내 하수찌꺼기(슬러지) 건조시설이나 도시농업 열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물재생센터에는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스마트팜(Smart Farm)도 구축해 운영한다. 서울시는 해당 환상망이 구축되면 38만 세대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과 8만 세대에 공급 가능한 열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의 모든 설비는 국제·국내 규격에 따라 구축, 설치된다. 설치된 이후에는 가스안전공사, 전기안전공사 등에서 연 2회 이상 안전 관리를 받는다.

서울시는 신재생에너지 환상망을 통해 연간 온실가스 37만6577톤과 대기오염물질(미세먼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1만7461톤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료전지의 공기 정화량은 매일 219만명이 호흡할 수 있는 분량으로, 이는 수소차 60만 대를 운영하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는 경제적가치 창출 효과는 연간 2815억원, 약 6500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