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 물질 저감, ‘무희토류 마그넷’도 개발 중
LG이노텍이 중희토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마그넷(자석)은 스마트폰 액추에이터, 차량 모터, 오디오 스피커 등 다양한 제품에 탑재되는 필수 부품이다.
그간 마그넷 핵심원료로 중희토류가 사용돼 왔다. 고온에서 자력 유지를 위한 성분으로 쓰인다. 중국 등 특정 국가에서만 생산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가격 변동성 및 공급 불안정성이 높은 원재료로 알려져 있다.
채굴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오염도 초래해 중희토류를 쓰지 않는 제품 개발은 해결해야 할 시급한 난제로 꼽혀 왔다.
LG이노텍은 앞서 지난 2021년 핵심성분인 중희토류 사용량을 기존 대비 60% 줄인 마그넷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과 같은 고가의 중희토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한국자원서비스(KOMIS)에 따르면, 테르븀은 지난 4년간 kg당 가격이 900달러에서 최고 331% 오른 2,983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디스프로슘도 4년 동안 최대 18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LG이노텍은 한국재료연구원과 협력해 중희토류를 대체할 수 있는 다원계 합금 물질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제품은 업계 최고 수준인 13.8kG(자석세기단위)의 자석 성능을 자랑한다.
LG이노텍은 “이번에 개발한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은 중희토 원소나 고가의 귀금속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최대 180도 고온 환경에서 내구성을 유지하는 점이 특징”이라며 “중희토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마그넷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 비용도 기존 대비 60%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LG이노텍은 스마트폰 액츄에이터 등 자사 제품에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을 적용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한층 높인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완성차·차량부품 기업, 스마트폰 제조 기업 대상으로 프로모션도 추진하며 가전·로봇 등 적용 분야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노승원 LG이노텍 최고기술책임바(CTO)는 “중희토류는 물론 경희토류까지 희토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한 무희토류 마그넷도 현재 개발 중”이라며 “혁신 소재와 부품을 한발 앞서 선보이며, 차별적 고객가치를 지속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벤츠코리아·KERI, 글로벌 상호운용성 시험센터 구축 지원 ‘맞손’
- LG엔솔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4,483억원 전년비 38.7% 감소
- 노스볼트 자회사 파산…전기차(EV) 시장 난항 상징
- LG전자·도로공사, 인캐빈 센싱 솔루션 고도화 ‘맞손’
- 콘티넨탈, 모듈식 구조로 최적화 ‘존컨트롤유닛(ZCU)’ 공개
- 韓, 마이크로LED 기술 특허출원 1위…LG·삼성 기술개발 주도
- KAIST 사족보행 로봇 ‘하운드’, 100m 달리기 기네스 신기록 달성
- LGD 정철동, “실적 턴어라운드 급선무…원가 혁신에 드라이브”
- LG이노텍, 중희토류 60% 절감한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 개발
- 삼성, 가성비 스마트폰 ‘갤럭시S24 FE’ 1일 국내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