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미디어 보고서 발표, 일 평균 온라인 영상시청 시간은 1시간 38분

▲ [source=pixabay]
[IT비즈뉴스 한지선 기자] 나스미디어가 국내 PC/모바일 인터넷 이용자의 주요 서비스 이용 행태 및 광고 수용 행태를 분석한 ‘2020 인터넷 이용자 조사(NPR, Netizen Profile Research)’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동영상 시청 시 유튜브를 이용한다는 응답은 93.7%로 유튜브 중심의 동영상 시청 행태가 확대되는 모습이었다. 넷플릭스 이용률은 28.6%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수치였던 11.9%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보고서는 이러한 성장 배경으로 콘텐츠 구독 서비스에 대한 이용 보편화와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니즈 증가를 꼽았다.

▲ 동영상 시청 채널 [나스미디어 자료인용]
실제 조사 대상자의 과반수 이상인 51.3%가 유료 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률은 전년비 약 8% 증가했다. OTT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콘텐츠의 다양성(49.0%)’과 ‘서비스별 독점 콘텐츠 제공(43.6%)’으로 나타났다.

유료 OTT 이용자의 30%는 스마트 TV/뷰어 등을 활용해 TV로 OTT 서비스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인터넷 이용자의 온라인 동영상 이용률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인 94.6%를 기록했다. ‘모바일 위주로’ 혹은 ‘모바일에서만’ 온라인 동영상을 시청한다고 답한 비율은 62.9%로 전체의 절반 이상이 모바일을 중심으로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동영상 시청 인터넷 유형 [나스미디어 자료인용]
한편 국내 온라인 동영상 하루 평균 시청 시간은 1시간 38분으로 집계됐다. 이 중 10대의 시청 시간은 2시간 35분, 20대는 2시간 6분으로 이용량 측면에서 타 연령 대비 높았다.

나스미디어 DTLab 이지영 실장은 “조사 결과 특정 장르와 카테고리에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영상 플랫폼이 유튜브와 함께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Z세대를 중심으로 짧은 포맷의 영상으로 담을 일상을 SNS에 공유하는 추세도 주목해 볼 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