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청은 1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최근 코로나19에 대한 신속하고 안전한 진단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한국형 워크스루 장비를 개발한 발명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자리는 워크스루 발명자들과 개별적으로 지식재산권(IP) 보호와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진행한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워크스루 기술이 코로나19 대응 현장에 선보인 이래 특허청은 관계부처와 협력, 한국형 워크스루 기술의 신속한 국내외 특허출원과 양산체계 구축을 추진해 왔다.
우선 한국형 워크스루 기술이 제대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국내 특허출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모든 워크스루 기술이 국내 특허출원을 완료한 상태며 해외 출원을 위한 권리화 컨설팅이 진행되고 있다.
발명자들이 장비 생산가능 기업 연결과 수출을 위한 품질인증 및 수출 지원을 요청하면서 산업부, 중기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생산기업 발굴과 ‘브랜드 K’ 인증·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특허청과 발명자들은 워크스루 기술 관련 지재권의 공적 활용과 개선-발전에 상호 협력한다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특허권을 획득하더라도 팬데믹 상황에서 해당 기술의 독점보다는 개도국 기술지원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널리 활용돼야 한다는 공감에서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한국형 워크스루 장비에 대한 ‘K-워크스루’ 브랜드화 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번 간담회 참석자들의 논의사항을 반영하고 빠른 시일 내에 관계부처와 한국형 워크스루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탄생한 우리의 창의적인 워크스루 기술을 시작으로 감염병 진단-치료 분야에서도 우리기업들이 우수 특허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