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조사결과, 상장사 3곳 중 1개는 일시적 한계기업
국내 상장사 5곳 중 1곳은 영업익으로 대출 이자를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3년 연속 1을 하회하는 기업을 뜻한다.
한국경제인협회가 6일 한국과 주요 5개국(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 상장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9.5%(2,260곳 중 440곳)로 집계됐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미국(2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고 프랑스(19.4%), 독일(18.7%), 영국(13.6%), 일본(4.0%) 순이었다.
한경협은 한국의 한계기업이 주요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한 것은 경기부진 장기화에 따른 판매부진 및 재고증가로 기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 데 기인한 것으로 풀이했다.
국내 업종별로 살펴보면 부동산업(33.3%),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24.7%), 도매·소매업(24.6%), 정보통신업(24.2%) 순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은 당해연도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도 6개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다. 미국(37.3%)이 가장 높았고 한국(36.4%), 프랑스(32.5%), 독일(30.9%), 영국(22.0%), 일본(12.3%) 순이었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 상승 폭은 2016년(7.2%) 대비 12.3%p로 미국(15.8%p)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동기간 한국 한계기업 수는 163곳에서 440곳이 됐다.
국내 업종별로는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20.7%p), 정보통신업(19.7%p), 제조업(10.7%p), 도매·소매업(9.6%p) 순이었다.
동기간 코스피의 한계기업 비중이 2.5%p(8.4%→10.9%) 오른 가운데 코스닥의 한계기업 비중은 17.1%p(6.6%→23.7%) 늘면서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한경협은 “경기 부진의 타격을 중소기업이 더 크게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국내기업은 극심한 내수부진과 트럼프 2.0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으로 경영압박이 크게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 직면한 난관을 극복하고 미래 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상법개정 논의를 지양해야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올해 CES에서 주목할 키워드는 ‘S·N·A·K·E’
- 글로벌 경기침체·탄핵정국 복합 위기로 기업 심리 ‘꽁꽁’
- 재무 분야에 AI 투자 증가세…기업 84%는 “ROI 기대 이상”
- AI반도체·HBM, 생성AI 시대 핵심 성장 동력으로 부상
- “글로벌 공급망 위기, 세계 각국은 보호무역주의 강화”
- 국내 대기업 10곳 중 7곳 “내년 투자계획 없거나 미정”
- 韓 첨단산업 수출경쟁력 3년째 中에 추월…“연구개발비 4배 차이”
- “기업 회생·파산 신청…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 경신”
- “이자도 못 냈다”…지난해 한계기업 수, 코로나 이전 대비 23.7% 증가
- 빅테크 실적발표 마무리…실망감 속 트럼프 관세 정책 ‘예의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