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행안부, 재난·안전 관련 5개 연구개발 과제 선정
정부가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통한 생활·안전 문제 해결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는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사업 추진을 위해 2025년 상반기 신규 연구개발 과제 5건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사업은 국민의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재난·안전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로 신속하게 해결 방안을 찾고 그 결과를 현장에 적용해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다.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제시한 재난·안전 문제에 대해 전문가가 긴급성·가능성 등을 토대로 우선순위를 검토해 연구개발이 필요한 문제를 선정하고, 상세기획을 통해 사업 연구개발 과제로 구체화해 국민 생활·안전 향상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
상반기 선정된 5개 과제는 ▲가축전염병 방역을 위한 내동성/저독성 소독제 첨가제 개발 ▲신종 마약류 검출 간편 체계 개발 ▲소형·경량형 팽창식 구명조끼 개발 ▲선박용 보급형 보완항법 체계 통합수신기 개발 ▲구조장비 경량화·소형화 기술개발 등이다.
내동성/저독성 소독제 첨가제는 주로 겨울철에 조류 독감(인플루엔자) 등 가축 질병이 발생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춰 겨울철에도 사용 가능한 소독제를 개발하는 과제이며, 신종 마약류 검출 간편 체계 개발 과제는 합성생물학을 활용해 현장에서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신종 마약을 검출하는 마약 판별 키트를 개발하는 과제다.
소형경량 구명조끼는 기존 팽창형 구명조끼를 소형·경량화하고, 주요 핵심 부품을 국산화함으로써 구명조끼 착용률을 높이고 어선 사고 발생 시 구명조끼 미착용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취지에서 선정됐다.
또 선박용 보급형 보완항법 체계 통합수신기는 해상에서 위성항법체계(GPS) 위성 전파 혼신으로 인한 소형어선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되며, 소형화·경량화된 공기통 등 소형경량 수난 구조장비를 개발해 수난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방지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차관은 “다양한 유형의 재난·안전문제가 국민의 일상생활을 위협하고 있다.”며 “사회문제 해결에 국가 연구개발 역량을 결집해 긴급한 현장 수요에 대응하고 첨단기술 개발 성과에 대한 국민 체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행안부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재난 현장의 목소리를 토대로 이번 연구 과제를 발굴했다”며, “이번 연구개발이 예기치 못한 재난·안전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신규 과제 추진을 위한 연구기관 선정 공모는 내달 8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행안부와 과기정통부는 올해 총 10개의 과제를 추진해 예기치 못한 재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 IT·플랫폼 업계, 경상·울산지역 산불 피해 복구에 동참
- 통신3사, 용인세브란스병원에 PASS QR 본인인증 서비스 도입
- KT, 통화매니저 서비스에 고객·민원 응대 직원 보호 기능 강화
- 정부, AI·반도체 등 첨단산업 표준화·해외인증 지원에 2,475억원 투입
- 오케스트로, 행안부 ‘긴급신고 통합시스템 유지관리’ 사업자 선정
- ETRI, 공중이동체 기반 대용량·장거리 이동통신 인프라 개발
- 카카오 “카톡 알림톡으로 중앙부처·지자체 연간 예산 40억원 절감”
- 에스원 “올해 AI CCTV 구축 증가, 주거시설 범죄 늘면서 홈 보안 인기”
- 과기정통부, 올해 R&D사업에 6조3000억원 투입
-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사고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