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왕숙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디지털 허브’ 조성
연면적 9만2000㎡ 규모 6천억원 투입, 2029년 준공 목표
카카오가 안산에 이어 남양주에 두 번째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
13일 카카오는 경기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주광덕 남양주시장,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허브(가칭)’ 조성을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카카오는 경기도 남양주 왕숙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약 6천억원을 투자해 연면적 약 9만2000㎡ 규모의 디지털 허브를 구축할 계획이다.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에 이은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로 건축 인허가 등의 행정 절차를 거친 후 2026년 착공,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카카오는 “AI 대중화 시대를 대비하고 전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카카오 서비스의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이번 디지털 허브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왕숙 도시첨단산업단지에 들어설 디지털 허브는 AI와 미래 기술을 위한 고집적 서버 수용이 가능한 AI데이터센터로 조성된다. 신재생 에너지 사용 외에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친환경 데이터센터로 설계·구축될 예정이다.
카카오는 디지털 허브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다양한 상생활동도 전개한다. 지역 내 인력과 자원을 우선 활용함으로써 건설 단계부터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지역 상생 기금을 조성해 소상공인 대상 디지털전환 및 판로개척 지원, 지역문제 해결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하는 등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상생 모델을 만들어갈 예정이다.
남양주시 주광덕 시장은 “이번 카카오의 대규모 투자유치를 통해 지난 1월 발표한 남양주 산업생태계 대전환이라는 거대한 프로젝트를 본격화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왕숙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선택한 카카오의 결정이 최대한의 성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 정신아 대표는 “AI 대중화 시대를 맞아 모든 국민이 일상에서 쉽고 편리하게 A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카카오의 목표”라며, “디지털 허브는 AI 대중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구축할 예정이며, 남양주 지역 발전 및 상생을 위한 협력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노키아 클라우드 인프라에 ‘AMD 에픽’ 프로세서 적용
- HPE 아루바, AMD DPU 기반 분산형 스위치 신제품 출시
- 인재 찾아 美 실리콘밸리로…SK하이닉스 ‘2025 SK 글로벌 포럼’ 연다
- LG전자, LGU+ 평촌 2센터에 액체냉각솔루션(CDU) 공급
- IT의사결정자 96%는 “AI 모델 활용”…업무 영역에 AI 도입 본격화
- KT, 베트남 비엣텔그룹과 MOU…GDC 구축 등 AI인프라 확충
- HPE, 차세대 프라이빗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발표
- 엔비디아, ‘스타게이트 UAE’ 프로젝트에 그레이스 블랙웰 GB300 공급
- LG전자, 데이터센터 타깃 고효율 HVAC 솔루션 공급 확대
- 슈나이더, 엘리스그룹과 AI데이터센터 고도화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