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반 동형암호화 서비스 개발·상용화
동형암호 기술 기반 보안 솔루션 기업 크립토랩이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클라우드·보안 분야 협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전날(2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사무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천정희 크립토랩 대표, 정선철 플랫폼개발팀장, 이재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부문 사업본부장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동형암호란 데이터를 암호화한 채 복호화 없이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로 인공지능(AI)이 데이터 원본을 노출하지 않고 학습하거나 분석할 수 있음을 뜻한다.
AI를 활용할 시 민감한 원본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올린 후 처리가 필요해 데이터 유출의 위험이 있으나 동형암호 기술은 데이터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복호화 없이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해 분석하고 계산할 수 있어 보안성이 높다.
크립토랩은 카카오클라우드를 활용해 금융·의료·생체 정보 등 민감 데이터를 완전하게 보호하면서 고도화된 AI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에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클라우드 인프라와 관련 기술을 지원하고 전문가 양성 교육을 함께 추진한다. 크립토랩은 동형암호 기술과 노하우를 교류하며 클라우드 기반 사업 기회를 발굴·공유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양사는 동형암호와 클라우드 전 분야에서 우선적 협력으로 상호 영업과 성과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크립토랩의 천정희 대표(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크립토랩의 동형암호 기술은 암호화된 안면결제, 생체인증, 벡터데이터 검색, 유전체 분석, 블록체인 및 핀테크 솔루션 등을 가장 안전한 방식으로 현실에 구현하는 엔진이 될 것”이라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의 이 여정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부문 사업본부장은 “협약을 통해 크립토랩이 동형암호화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데 카카오클라우드의 고성능 인프라를 지원하게 됐다”며, “클라우드 기반 동형암호화 서비스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데 협력해 안전한 AI 사용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NIA, LGU+·크립토랩과 ‘양자내성암호 전환 기술 공모전’ 개최
- 과기정통부, 마이데이터 사업에 커뮤니티 과제 도입
- LGU+ 광전송장비, 국내 1호 양자통신암호화장비 인증 획득
- ETRI, 완전동형암호 연산 가속기 칩 개발…SoC로 상용화 예고
- 생성AI(Gen AI) 기대감 최고조…가트너, “5년 내 혁신성과 달성”
- “마이데이터의 시대, 당신의 데이터는 안전한가요?”
- LGU+, “양자내성암호(POQ) 전용회선 서비스…전세계 최초 상용화”
- 가명결합정보 기반 신사업 발굴…‘디지털라이프 데이터댐’ 출범
- 네이버, 롯데 유통군과 특화 AI에이전트 개발…AX 추진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