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C컨소시엄은 MEC 관련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 등을 토탈 패키지로 구성해 이를 원하는 통신사에 제공하게 된다. 컨소시엄에서 SK텔레콤은 MEC 소프트웨어를, HPE는 하드웨어 인프라 제공과 현지 영업 및 유지보수를 담당한다.
MEC컨소시엄은 동남아 통신기업을 대상으로 MEC 패키지를 우선 공급한다. 현재 말레이시아, 태국 통신사와 공급 계약 관련 세부 협의를 진행 중이며 추후 북미·유럽 소재 다양한 통신사에게 수출을 타진한다는 계획이다.
5G MEC는 무선 데이터 전송 지름길을 만들어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및 차량 관제와 로봇 등 초저지연 서비스의 성능을 높이는 5G 핵심기술이다.
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MEC 솔루션을 증강/가상현실(AR/VR)에 접목하는 한편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등과 협력 관계를 체결하고 MEC 기반 클라우드 사업을 준비 중이다.
하형일 SK텔레콤 코퍼레이트2센터장은 “SK텔레콤의 기술이 미디어, 보안, 게임 및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내 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고 5G 산업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생태계 형성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윤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컨소시엄을 통해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5G MEC 상용 기술과 플랫폼에 대한 글로벌 통신사의 관심이 높다는 것을 입증했다”며 “선제적 기술 개발 역량과 5G 서비스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5G MEC 생태계 확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린다 카푸어 HPE APAC 대표는 “이번 협력으로 아시아 통신기업이 다양한 MEC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는 생태계가 구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전환(DT) 혁신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