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인공지능(AI)·클라우드 핵심 기술과 전략을 조망하는 기술 컨퍼런스 ‘클라우드 빅테크 2025’가 개최됐다.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주최·주관으로 24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이날 행사는 디지털전환(DT) 정책과 민간 클라우드 기술 간 접점을 조망하고 향후 도전과제를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는 KT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AWS), 네이버클라우드, 삼성SDS, 나무기술, 가비아, ETRI 등 총 12개 기업·기관 관계자가 발표자로 나섰다.
기조강연 기업인 KT클라우드는 초거대AI 및 공공 클라우드 플랫폼 전략을 중심으로 “국가 디지털 대전환에 있어 AI인프라 구축의 현실적 과제”를 제시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소버린AI, 자체 AI인프라, 금융·공공 클라우드 이행 전략을 공유했다.
AWS는 “공공부문에 적합한 보안·가용성 중심의 AI서비스 구현사례”를 바탕으로 글로벌 적용 사례의 핵심을 전했다.
기술세션에서는 삼성SDS, SK쉴더스, 나무기술, 가비아, ETRI 등이 서비스형 플랫폼과 소프트웨어(PaaS/SaaS), 보안, 지방정부 디지털전환, 공공서비스 최적화 사례 등을 중심으로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했다.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최지웅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AI와 클라우드는 이제 하나의 기술이 아닌, 디지털 사회를 떠받치는 기반 인프라로 기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AI-클라우드 융합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HS효성인포, ‘데이터센터 현대화 컨퍼런스’…AX·인프라 혁신 전략 공유
- “접속이 곧 공정…공공 DaaS로 수도권-비수도권 교육격차 해소”
- 티맥스티베로, MS애저 마켓플레이스에 ‘아울디비’ 등록
- 지난해 IaaS 시장 22.5% 큰 폭 성장…상위 5대 업체가 점유율 82.1%
- [데스크칼럼] ‘K-AI’ 국가대표로 선발된 SKT…보안 우려는 해소됐나
- KT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국정원 ‘보안기능확인서’ 획득
- ‘보안 퍼스트’ 전략 공개한 LGU+…“민·관 정보보안 협의체 구성하자”
- 우리은행, 오픈API 플랫폼 ‘이음’ 개방…BaaS 사업 본격화 시동
- “초기 도입단계 생성AI 기술, 융합 비즈니스 영향력 커질 것”
- 한국클라우드산업협, AI-Cloud 분과위 첫 회의…산업계 현안 논의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