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조사결과, 국내기업 하반기 매출 11.7% 감소, 철수계획 고려 기업도 20%

전경련은 지난달 홍콩주재 한국기업 93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미중 무역갈등과 홍콩 보안법의 영향과 전망조사’을 통해 홍콩의 아시아 금융허브로서의 위상에 변화가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진출 한국기업 55.9%, 홍콩국가보안법 시행으로 비즈니스에 부정적
전경련에 따르면 홍콩진출 한국기업의 55.9%가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과 미국의 홍콩 특별지위 박탈에 따라 비즈니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홍콩보안법 사태에 따른 한국경제 영향에 대해서도 부정적 영향을 전망한 기업이 70.6%에 달했다. 지난달 1일 홍콩국가보안법의 전격 시행된 점, 같은 달 14일 미국의 홍콩 특별지위 박탈에 따라 홍콩진출 한국기업이 자사 사업환경 및 한국경제에의 영향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특히 향후 홍콩 이외로 아시아금융허브가 대체된다면 88.2% 기업이 싱가포르를 대체지로 예상했다. 서울이나 부산 등 한국을 대체지로 응답한 기업은 없었다.
미국이 홍콩에 대한 관세특별혜택을 박탈하면 중개무역 거점으로서의 홍콩의 위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도 85.3%로 높게 나타났다. 미국이 홍콩에 관세혜택을 거두면 대미 수출품은 최고 25%의 세율을 적용받는다.
홍콩보안법 시행의 영향으로 한국기업의 글로벌 거래처 중 이미 홍콩에서 철수했거나 철수 예정인 기업은 20.6%다. 홍콩보안법 시행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글로벌 기업의 탈 홍콩 움직임도 감지된다.
중국의 홍콩보안법 시행과 미중 무역갈등 격화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홍콩진출 한국기업 절반(50.0%)은 미국, 유럽의 대중국 제재를 살펴본 후 판단하겠다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 ‘홍콩의 위상변화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는 41.2%, ‘홍콩을 통한 중국 우회수출 축소’가 8.8%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대응협력 필요 공감…향후 미중 무역갈등 악화 전망은 67.6%
코로나19에 따른 G2 대응협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홍콩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기업의 2/3 이상(67.6%)은 홍콩보안법 시행 후 미중 갈등이 더 악화될 것으로 봤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의 단계적인 제재와 중국의 맞대응 지속으로 점진적으로 악화(58.8%)’, ‘미중 무역갈등 격화로 급속히 악화(8.8%)’ 등을 꼽았다.
미중 무역갈등이 완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32.4%에 그쳤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19 등에 따른 글로벌 경제침체로 미중 무역갈등 억제(20.6%)’, ‘미중 양국은 상호의존적 경제구조로 서로간의 대립을 자제(11.8%)’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