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CD 체계 구축, 개발·테스트·배포 전 과정 효율화
우리금융그룹은 AI전환(AX) 추진을 위한 그룹 공동 클라우드 플랫폼을 최종 완성하고 전 계열사로 확대 적용한다고 11일 밝혔다.
2019년 ‘그룹 공동 클라우드 도입 전략’을 수립한 후 6년간 단계적으로 추진해 온 그룹 차원의 대규모 인프라 혁신 프로젝트로 우리은행이 주관해 구축했고 우리금융그룹 전 계열사가 공동으로 활용한다.
우리은행이 구축한 그룹 공동 클라우드 플랫폼은 디지털·AI 핵심 전략을 신속하고 유연하게 실행할 수 있는 통합 환경이다. 이 위에서 선보인 서비스형 뱅킹(BaaS)과 디지털 지갑(우리WON지갑)은 외부 제휴를 넓히고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이 플랫폼은 내부와 외부 클라우드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로 설계돼 금융권의 보안·규제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디지털 서비스를 신속하게 개발·운영할 수 있도록 구현됐다고 우리은행은 설명했다.
클라우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클라우드 포털과 퍼블릭클라우드에 최적화한 그룹 표준 보안정책 기반의 운영 체계를 구축했고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국제 정보보호 관리차계(ISO/IEC27001) 등 국내외 핵심 보안 기준도 반영했다.
특히 시중은행 최초로 금융감독기관의 안정성 요건을 충족하는 지속개발/지속배포(CI/CD) 체계를 도입했다. CI/CD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배포 과정을 자동화하는 기술로 서비스 품질 검증과 보안 심사 절차를 자동화해 운영 리스크를 최소화했다.
우리은행은 “이번 사업은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AI 기반 경영시스템 대전환의 일환”이라며 “클라우드 플랫폼 완성을 계기로 계열사 간 기술 표준화와 디지털 역량을 한층 강화해 AX 전략을 단계적으로 실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그룹 공동 클라우드 플랫폼 완성을 통해 그룹의 AX 추진 기반을 확고히 다지고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AI 전략을 바탕으로 고객 중심의 혁신 금융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IBK벤처투자, SBI인베스트먼트와 맞손…‘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출범
- 4월 ‘상호관세 폭풍’ 후 최악의 1주일 보낸 美증시…이유는?
- 하나금융, MSCI ESG 평가 2년 연속 최고 등급 ‘AAA’ 획득
- 우리은행, 금융권 최초 ‘AI 개발 지원 플랫폼’ 본격 운영
- “모든 서비스의 에이전트화”…네이버, 예측·제안·실행 ‘에이전트N’ 띄운다
- 금감원, 지역별 찾아가는 분정조정 간담회…소비자 보호 강화
- 정부, 기업 CISO 대상 간담회서 “사이버보안 총력 대응” 주문
- 원금 보장·추가 수익 동시에…KB국민은행, ‘지수연동예금’ 출시
- 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니로 확대 시행
- 토스페이먼츠·에스티엘, 구매전용카드 기반 결제 시스템 도입 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