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배달 전용 앱으로 주문-배송확인, 드론 스테이션 등 적용가능한 기술 실증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국토교통부가 드론 서비스 확산의 일환으로 다수의 드론을 활용한 음식배달 실증을 19일 오후 세종 호수공원 일대에서 시행했다.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안전한 드론’의 주제로 진행된 이번 실증은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사전 홍보 없이 진행됐으며 당일 호수공원을 찾은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체험해 보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실증에서는 5대의 드론을 2개 지역으로 나눠서 3대의 드론은 세종호수 공원에서 2.5km 거리에 있는 세종시청에서 출발해 금강을 가로지르고, 2대의 드론은 1.5km 거리에 있는 나성동 상업지구의 고층빌딩 숲을 통과해 마스크와 손세정제, 음식을 평균 10분 내에 배달하는 과정을 선보였다.
국토부는 실제 도심환경에서 안전한 중장거리 드론배달 서비스의 가능성을 확인했고 다수 드론의 자동 이착륙과 경로비행, 드론배달 전용 앱(App)을 이용한 주문과 배송확인, 드론 스테이션 활용 등 적용 가능한 기술도 함께 실증했다.
실증에 투입된 5대의 드론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 엑스드론 등 국내 기업이 제작한 다목적용 드론이다.
장시간 비행에 적합한 수소전지 드론을 비롯해 물류 배송, 항만 감시, 수색 구조 및 사회기반시설 점검 등에 활용되는 다양한 모델의 드론이 사용됐다.
드론을 활용한 배송 분야는 아마존, DHL 등의 물류기업이 경쟁적으로 시장진출을 위해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드론 규제샌드박스 등 다양한 실증사업을 통해 기술적인 완성도를 높여가고 있다.
허나 택배 등 기존 지상물류의 경쟁력에는 못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기존 배송시장의 틈새를 찾고 도서산간 물품배송 등 특수목적의 드론배송 사업모델을 발굴, 시험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정용식 항공정책관은 “드론배송은 아파트 등 고층건물 배송방식, 탑재무게의 제한, 악천후 등 기후제약 등 정부와 업계가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도 많다”면서 “드론배송을 비롯해 드론을 활용한 산업이 정착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NIA, 네트워크슬라이싱 기반 5G 테스트베드 구축
- 드론사업 확장하는 한컴그룹, 항공·드론 전문기업 ‘인스페이스’ 인수
- DJI 드론 사용중단한 美 국방부, 자국·프랑스 업체 드론 도입…입찰자격 부여
- 융복합 CCTV 관련 특허출원 증가세, 중소기업이 출원 절반 차지
- 디지털·그린·고용사회안전망 3대축 이룬 ‘한국판 뉴딜’에 160조 투입
- 자율주행차·산업자동화 기계의 ‘눈’, 이미지센서 특허출원 활발
- 과기정통부, 드론·스마트시티 등 신산업 전파분야 재직자 교육 실시
-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사업 본격화
- 카카오T 블루 이용자 10명 중 7명 서비스 ‘만족’
- 경쟁 치열한 전세계 드론시장…전경련, “진입규제 풀고 생존기술 키워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