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바CIC 내 리서치팀, 전사 AI연구소로 개편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네이버가 중장기 인공지능(AI) 기술 연구조직 확대를 위해 별도의 연구소를 개설한다.
7일 네이버에 따르면 글로벌 AI기술 플랫폼 기업으로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 선행 AI 기술을 심도있게 연구할 ‘네이버 AI랩(LAB)’을 개설하고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네이버 AI랩은 기존 AI선행기술을 연구하던 클로바(CLOVA) 리서치 조직을 클로바CIC에서 분리해 규모를 확대한 새로운 연구소다.
차세대 공통 이미지/비디오 인식 기술을 포함해 ▲멀티모달 생성 모델 ▲차세대 대규모 언어 모델 ▲새로운 인공지능 학습 기법 ▲인간과 상호작용(HCI)를 고려한 AI기술 등 중장기 선행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네이버는 클로바CIC에서 중장기 AI기술 연구팀을 분리해 별도의 조직으로 신설하면서 AI 연구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는 NeurIPS, ICML, CVPR, ACL, EMNLP, ECCV, Interspeech 등 다양한 AI학회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만큼, 별도 연구조직을 설립하면서 기술연구 투자에 집중하고 이 수준을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네이버 AI랩에서 연구된 결과는 네이버랩스, 클로바 등 사내 타 AI 연구팀과 공유하면서 시너지를 확대하고 향후 클로바,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에도 단계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네이버 AI랩을 맡게 된 하정우 책임리더는 “네이버 AI랩은 임팩트 있는 중장기 선행 연구에 더욱 집중하고 클로바 및 네이버 랩스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혁신적인 가치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알츠하이머 연구진 소개한 삼성, 기초연구 지원 국내 교수진 영상 공개
- 포털 네이버 고객센터 위장한 피싱공격 발견, 해킹조직 ‘탈륨’ 소행 추정
- 네이버·연세대, AI교육·산학협력 프로젝트 MOU 체결
- 네이버D2SF, 포스텍 학생 창업팀 출신 ‘플라스크’에 투자 단행
- IBM, 64양자볼륨 달성…美 코넬대 논문사이트(arXiv)에 세부정보 공개
- 카카오엔터, AI 포닥 지원 프로그램 론칭…지원자 모집 개시
- 네이버, 음성합성 기술 엔보이스(nVoice) 고도화…AI 앵커 서비스 적용
- 해외 웹툰사업 지배구조 재편하는 네이버, “美 법인이 사업총괄”
- AI·T전화 통합 서비스 공개한 SKT, “통신기업만의 차별화 서비스 제공”
- 네이버, 차량 관리 통합서비스 ‘네이버 MY CAR’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