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조사, 국내 대기업 시장 진입은 10명 중 6명 ‘찬성’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국내 소비자 10명 중 8명은 중고차 매매시장을 믿지 못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0명 중 6명은 국내 대기업의 중고차 매매시장 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고차 매매시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80.5%는 우리나라 중고차 시장이 불투명할 뿐만 아니라 혼탁·낙후됐다고 인식한다고 답했다.
중고차 매매시장이 투명·깨끗하고 선진화됐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11.8%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도 7.7%였다.
중고차 매매시장이 불투명·혼탁·낙후됐다는 응답자는 그 이유를 ▲가격산정 불신(31.3%) ▲허위·미끼매물(31.1%) ▲주행거리 조작·사고이력 등에 따른 피해(25.3%)로 들었다.
애프터서비스(AS) 대한 불안(6.2%)과 중고차매매업 관련 제도 미비와 감독 소홀도(6.1%) 이유로 꼽혔다.
중고차 매매시장이 투명하거나 선진화됐다고 생각한 응답자들은 사고이력 등 정보접근성 용이(31.4%)를 이유로 가장 많이 꼽았다.
국내 완성차 제조 대기업이 중고차 매매시장에 진입하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묻는 말에는 매우 긍정(40.3%), 다소 긍정(23.1%), 보통(22.0%), 다소 부정(6.0%), 매우 부정(8.6%) 순으로 답이 나왔다.
우리나라 중고자동차 매매시장에 완성차 제조 국내 대기업이 진입하는 데 대한 의견과 관련해서는 매우 긍정(40.3%), 다소 긍정(23.1%), 보통(22.0%), 다소 부정(6.0%), 매우 부정(8.6%) 등으로 조사됐다.
중고차 매매시장에 완성차 제조 국내 대기업이 진입하는 데 찬성하는 소비자(63.4%)가 반대하는 소비자(14.6%) 보다 4배 이상 많았다.
대기업의 중고차 매매시장 참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유를 물어본 결과 ▲성능·품질 안전 및 구매 후 관리양호(41.6%) ▲허위매물 등 기존 문제점 해결 기대(41.4%) 등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어 대기업에 대한 신뢰(7.4%), 제조사 인증 중고차 이용가능(6.6%), 합리적인 가격(3.0%) 등을 꼽았다.
대기업의 중고차 매매시장 참여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소비자의 경우 ▲기존 매매업자 보호(54.8%) ▲중고차 가격상승 우려(23.3%) ▲규제로 중고차시장 문제 해결(15.1%) 등을 꼽았다.
한편 현재 벤츠, BMW 등 수입차 브랜드에만 허용된 제조사 인증중고차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과 관련해서는 제조사 판매 인증중고차가 일반 중고차 판매 매매업체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는 응답(48.0%)이 높았다.
수입차에 대해서만 인증중고차를 허용하는 것이 불공평하다는 응답은 23.8% 수준이었다. 이어 고가의 인증중고차 불필요(17.9%), 제조사 인증중고차도 불신(7.2%), 국산 인증중고차 불필요(3.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中企 수출 활성화 지원…중기부, 연말까지 O2O 전략 컨소시엄 추진
- 전기차(EV) 전용 정비업체 등록 기준 완화된다
- ‘수위탁 불공정 거래, 바로 잡는다’…중기부, 상생협력법 개정 법률 공포
- 중고차 거래시장 진입한 쏘카, 온라인 플랫폼 ‘캐스팅’ 론칭
- 네이버, 차량 관리 통합서비스 ‘네이버 MY CAR’ 오픈
- 차봇모빌리티, 25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유치 성공
- 패스 앱(App)으로 중고차 거래한다…SKT, ‘패스 자동차’ 서비스 출시
- “美·中 코로나19 경제활동 제한 완화”…100대 기업 해외매출 소폭 증가
- “국민 10명 중 6명,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완화 필요”
- 韓 신산업 경쟁력, 주요 4개국 경쟁서 하위권…“격차 줄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