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분야 17개 과제, AI/SW 전문인재 양성 및 관련 생태계 조성도

3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정부가 소프트웨어(SW)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 생태계 구축과 SW 강소기업 육성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 및 제43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소프트웨어 진흥 실행전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SW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되는 이번 전략은 SW기업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관련 기업 성장을 위한 생태계 강화, 지속적인 SW 성장기반 조성 등 3대 분야 17개 과제로 구성됐다.

과기정통부는 관련 기업이 공공 SW사업 계약-수행-사후관리 단계에서 적정대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수기업이 적정대가에 낙찰될 수 있도록 기술평가에 차등 점수제를 도입하고 발주자의 불이익행위를 신고 처리를 위한 절차도 마련하는 내용을 담았다.

2023년까지 경기도 성남 판교에 소프트웨어 드림타운을 구축하고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임대공간 100여개를 공급하는 내용도 담겼다.

2025년까지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R&BD), 투자유치와 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을 통해 지역 SW 강소기업 10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인공지능/소프트웨어(AI/SW) 고급인재 양성하기 위해 내년에는 AI 대학원 2곳을 추가로 선정해 총 10개로 확대한다.

올해를 기준으로 247곳인 AI 선도학교를 500곳으로 확대하고 내년부터 전 국민 대상으로 AI/SW 역량 강화를 위한 온라인 AI 교육 플랫폼도 마련한다.

연 1000억원 규모의 ‘SW 컴퓨팅 산업 원천기술 개발사업’ 투자를 통해 지능형반도체, 양자컴퓨팅 등 신규 인프라 지원을 확대하고 AI 의료 SW(닥터앤서)의 고도화를 위한 융합기술 투자도 확대한다.

한편 공개SW 활용을 원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라이선스 기술 지원과 활용 방법 교육을 지원하고 정부 부처의 개방형 운영체제(OS) 도입도 확대한다.

이번 전략은 이달 10일부터 시행되는 ‘SW 진흥법’이 공공SW 시장과 사업 현장에 안착해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