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포럼 2020, 환경 해치는 행동 변화 위한 새로운 방법론 중요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최태원 SK회장이 환경위기 극복을 위해 기업 차원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가속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지난 3일 최종현학술원과 일본 도쿄대가 ‘지구환경 위기와 글로벌 거버넌스’를 주제로 열린 ‘도쿄포럼 2020’ 개막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특히 인간의 공감 능력을 키워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에 이어 2회째를 맞은 이번 도쿄포럼은 팬데믹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으로 4일까지 이틀간 열린다.
최종현학술원과 도쿄대학에 스튜디오를 마련하고 각국 참가자를 온라인으로 연결해 진행된 이번 도쿄포럼에는 글로벌 석학과 국제기구 관계자와 기업인 등 40여명이 참여했다. 최 회장은 최종현학술원 이사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최 회장은 “환경을 해치는 잘못된 행동을 궁극적으로 바꿔나가기 위해 새로운 시스템과 방법론들을 시급히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기업이 친환경 사업, 사회적가치 창출, 투명한 지배구조 등을 추구하는 ESG 경영을 가속화 하는 것이 환경위기와 코로나 팬데믹 등을 극복하는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각 기업들이 이미 ESG 경영 추진 노력과 성과에 따라 시장에서 가치를 평가받고 있는데, 이 가치 측정체계가 고도화될수록 기업의 행동도 변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 회장은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코로나와 환경재앙, 무관심, 증오 등으로 상처를 받은 사람들을 이해하고 감정을 공유하는 공감능력이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럼을 공동 주최한 도쿄대 고노카미 마코토 총장은 개막연설에서 “우리는 코로나, 기후변화와 같은 전대미문의 위기를 겪고 있다”며 “사이버 공간에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저감 및 환경보호 방안을 찾아내고 인간의 행동 변화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제프리 삭스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도 기조연설에서 “글로벌 사회는 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회복 등을 위해 수십년에 걸친 장기적 안목으로 관련 정책들을 입안해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 버티브·하니웰, 확장 가능한 미래형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개발 추진
- 오토데스크·SK건설, 파주 연료전지발전소 설계·시공 프로젝트에 BIM 도입
- 슈나이더일렉트릭, 동아시아지역 ESS 비즈니스 확대
- 유튜버 21개팀 구성 SKT ‘행복인플루언서’ 출범…사회적기업 홍보활동 개시
- 최태원 SK 회장, “변화를 일상으로, 기회로 삼고 성장해야”
- CJ올리브네트웍스, 中企 정보보안 역량강화 프로그램 ‘CJ화이트햇’ 개시
- “다양성을 위해서, 우리는 경쟁이 아닌 협력에 나서야 한다”
- 기계연, “탄소중립, 육성분야 투자·협력으로 신산업 선점해야”
- 조대식 SK수펙스 의장, “올해 파이낸셜 스토리 실행 원년 삼자”
- 카카오모빌리티 류긍선 대표, 환경보호 실천운동 ‘고고 챌린지’ 동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