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LG유플러스가 최신 광전송 기술을 적용한 기업 전용 전국 백본망을 신규 구축을 마무리짓고 본격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백본망 신규 구축은 비대면 시대에 맞춰 급증하는 트래픽에 선제 대응하고 기업 고객의 다양한 사업 환경에도 안정적인 기업 전용망을 제공하기 위함이라는 게 사측 설명이다.
미국 시에나(Ciena)의 차세대 광전송장비인 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을 도입했으며 특히 주요 광역시와 전국 28개 주요도시를 상호 직접 연결하는 메시 방식으로 구축, 저지연 및 경로 다원화 등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강화했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새로 도입한 광전송장비(ROADM)는 광신호를 원격에서 자유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고 폭증하는 트래픽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국내 최초로 가변 파장(Flexible Grid) 방식을 적용했다.
트래픽 급증 시 기존 망 대비 6배 이상인 600G까지 전송 가능한 네트워크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또 기업들이 운영하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와 직접 연동하면서 네트워크 확장 구성도 용이해 공공기관, 대기업 및 금융사, 글로벌 기업 등도 안정적인 고품질의 트래픽 관리가 가능하다.
LG유플러스는 신규 백본망 전체 구간에 광선로의 손실과 단선 지점, 거리 등을 측정하는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기술을 적용, 직관적으로 실시간 선로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장애 발생 시 대응시간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유플러스 구성철 유선사업담당은 “재택근무, 화상회의, 원격수업 등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대되는 가운데 다양한 기업 고객의 니즈를 수용할 수 있는 신규 백본망 구축을 완료했다”며 “유연하고 안정적인 전송망을 제공하면서 기업고객사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U+, PQC 기술 결합한 USB형 보안토큰 개발…디지털뉴딜 사업에 적용
- 주니퍼네트웍스, 중앙그룹에 AI 기반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구현
- 용산IDC 시대 연 KT,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로 DX 실현 지원할 것”
- 라임라이트, OTT기업 ‘싸이믈티비’에 엣지컴퓨팅 서비스 공급
- 시스코·구글, 멀티클라우드 가용성 극대화 ‘SD-WAN 클라우드 허브’ 개발
- ‘선도시험망(KOREN)’ 구축·운영사업자로 KT 선정한 NIA, 본격 고도화 추진
- SKB, 온프레미스형 디도스 방어 서비스 ‘디도스 클린존 구축형’ 론칭
- “코로나19 확산, 집 거주시간 늘면서 유튜브 트래픽도 동반 상승”
- LGU+, 월 3만원대 온라인 전용 5G 최저가 요금제 출시
- LGU+, O-RAN 기반 스몰셀 구현…“실내 5G 커버리지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