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유동인구 추이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인구이동량-확진자 수-거리두기 정책 연관비교 [KT 자료인용]
인구이동량-확진자 수-거리두기 정책 연관비교 [KT 자료인용]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정부 방역정책에 따라 서울시가 지난해 12월23일부터 실시한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 후 인구 이동량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7일 KT가 지난해 코로나19 유행시기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5인 이상 집합금지가 시행 4일 전부터 서울시 인구 이동량이 증가세로 전환됐으나 집합금지가 발효와 성탄절 연휴가 시작되면서 이동량이 감소세로 꺾였고 확진자 수도 감소하기 시작했다. 

연말 유동인구가 늘어나는 시점에 맞춰 적기에 대응해 확진자 증가세가 둔화되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8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의 추이를 보면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의 방역 단계가 강화된 11월24일 이전부터 서울 내 이동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이 확진자 증가 추이를 살피면서 자발적으로 이동을 줄인 것이다.

코로나19 3차 대유행 시기(11월1일~12월31일)의 경우 1·2차 유행 때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지난해 3월(1차 유행), 8월(2차 유행)에는 확진자 증가에 따른 이동인구의 감소가 즉각 나타났으나 3차 유행 때는 이동인구의 감소 현상이 다소 천천히 나타났다. 시민들의 반응 속도가 이전에 비해 더뎌진 셈이다.

동기간 트위터, 커뮤니티 등 소셜 버즈량(키워드-코로나)의 경우 1·2차 유행보다 3차 유행의 확진자 수가 크게 늘었음에도 오히려 줄었다. 장기간 진행된 방역 조치에 따라 시민들의 피로도가 커지고 코로나19에 대한 학습효과가 생긴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타 지역구로부터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구는 확진자 비율도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구 인구의 유입이 가장 많은 중구와 종로구는 확진자비율이 각각 0.18%, 0.21%를 기록했다. 

다만 유입인구 비율이 낮은 강서구, 중랑구의 경우 발생한 집단감염(강서구 11월26일 댄스학원, 12월12일 종교시설, 중랑구 12월말 종교시설)으로 인해 확진자 비율이 높았다.

3차 유행 때의 확진자 증가와 인구 이동량을 자세히 살펴보면 5인 이상 집합금지 후에도 확진자가 늘어난 자치구는 그렇지 않은 구에 비해 유입인구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KT디지털&바이오헬스P-TF가 실시한 이번 분석은 KT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지역구별 유동인구 변동 추이와 뉴스, 소셜미디어(SNS) 등의 버즈량과 확진자수 증감 비교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