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정부가 국내 팹리스기업이 반도체 설계자산(IP) 활용하는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특별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경기도 판교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국내외 반도체IP 기업과 디자인하우스, 팹리스, 파운드리 등과 ‘반도체 IP 활용 지원 프로그램’ 출범식을 열었다.
반도체IP는 시스템반도체에서 특정 기능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범용 회로도(설계자산)이다.
국내외 반도체IP 기업과 설계지원센터 간 협력으로 이번에 마련된 이 프로그램은 ▲글로벌 반도체 IP 특가 지원 ▲반도체IP 활용 플랫폼 구축 ▲국내 반도체IP 활용 지원 등 3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우선 시놉시스(Synopsys)에서 설계지원센터를 통해 국내 팹리스에 할인된 가격으로 IP를 제공하고 설계지원센터는 원래 가격의 10%를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ARM과 연계된 국내 디자인하우스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국내 팹리스에 ARM IP의 최적 활용 방법에 대한 컨설팅도 무료로 제공하는 내용도 담겼다.
지원을 통해 팹리스는 국내 IP 비용의 최대 50%를 할인받을 수 있고, 필요 시 국내 IP 기업과 협의해 추가적인 지원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시범사업 기간인 올해는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하고 내년도 본사업 추진 시에는 지원 한도도 상향할 예정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이날 시스템반도체 업계 간담회를 함께 개최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전문인력 양성 ▲반도체IP 사업화 지원 ▲시스템반도체 밸류체인 간 연대-협력 방안 ▲민간 신규투자 지원 등을 건의했다.
성윤모 장관은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우리가 강점이 있는 파운드리의 투자를 확대하고, 인공지능(AI) 반도체, 전력반도체(PMIC) 등 차세대 신시장의 설계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기업이 반도체 초과수요에 대응하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최대한 지원할 예정”이라며 “민간에서도 장기적인 안목을 바탕으로 미래를 대비한 신규투자와 기업간 연대-협력을 적극 추진해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구글·MS·퀄컴도 반대”…엔비디아-ARM 인수합병 난항
- CEVA, ML 애플리케이션 설계 최적화 ‘센스프로2’ DSP 설계자산(IP) 공개
- 엑시노스2100 공개한 삼성, “퀄컴에 밀린 전작 자존심, 회복할까?”
- “AMD, 퀄컴 날았다”…글로벌 반도체 시장 팹리스 매출 점유율 33%, 역대 최고치
- 서버용 자체 실리콘(Chip) 개발 나서는 MS, 脫 인텔 가속화
- 멘토·ARM, IC 설계 검증기능 최적화 ‘맞손’…RTL 디자인 검증 서비스 론칭
- 日 르네사스, 오픈소스 반도체 설계자산(IP) RISC-V 채용…칩 설계 시작
- 일렉트로비트·시높시스, ARC FS 프로세서IP용 ‘EB 트레소스’ 클래식 오토사 툴 공개
- [이슈분석] “엑시노스와 애플실리콘은 왜 ARM의 설계자산(IP)을 선택했나” ①
- 마우저, 오픈소스 ISA ‘리스크-V(RISC-V)’ 리소스 사이트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