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정부가 올해 3D프린팅 산업에 968억3000만원을 투입하고 관련 산업 활성화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산업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2021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먼저 3D프린팅 산업 현장 활성화에 214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건축물을 대상으로 3D프린팅 기술을 개발하고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의료기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 임상실증도 지원하는 내용도 담겼다.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제품과 부품 공정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공정개발 컨설팅도 제공한다.
핵심소재와 장비, 소프트웨어(SW)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32억8000만원이 투입된다. 차세대 소재와 맞춤형 장비를 개발하고 핵심 SW의 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제조혁신과 기업성장을 위한 기반 마련에는 521억원을 배정했다. 신소재 분야 석·박사급 인력을 키우고 재직자 교육으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내용도 담았다.
공정개발을 위해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와 3D프린팅 제작-공정지원센터도 구축한다. 3D프린팅 국제표준화와 국가기술표준 제정도 추진한다.
2021년도 시행계획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 3D상상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전국 공공 와이파이 업그레이드…노후 공유기 교체
- 과기정통부, 올해 클라우드 기술·서비스 개발에 800억 투입
- 울산시, 3D프린팅 관련 기업 특례보증 지원사업 확대
- 디지털 임플란트 관련 특허출원, 연평균 12% 증가세
- 스트라타시스, 3D프린팅 스타트업 오리진 인수 추진
- 3D프린팅 기법 활용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 심각…“전공개설 확대, 스타트업 지원·육성책 확대해야”
- 제조산업계가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에 주목하는 이유 ①
- KT·서울과기대, 클라우드 융합인재 육성 협력…아카데미 프로그램 신설
- 28GHz 5G 서비스 구현 첫 발…과기정통부, 태스크포스(TF) 발족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