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SK텔레콤이 3G/LTE 네트워크 장비 통합 및 업그레이드를 통한 전력 사용량 절감에 성공하고 환경부로부터 국내 통신분야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인증받았다고 9일 밝혔다.
그간 형광등 대신 LED를 사용하거나 태양열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등 에너지원 변경을 통한 전력량 절감 방식이 보편적이었으나 통신기술을 이용한 온실가스 감축 방법이 환경부 인증을 획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SK텔레콤이 개발한 온실가스 감축 방법은 3G와 LTE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 및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이다. 이를 활용하면 기존 대비 전력 사용량을 약 53%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SK텔레콤은 이 기술을 2019년부터 적용하기 시작해 2020년에는 서울시를 포함 전국 78개시의 자사 기지국과 중계기에 적용을 모두 완료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환경부로부터 온실가스 저감에 따른 탄소배출권 1,117톤을 인정받았다.
올해부터는 매년 약 1만톤의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을 것으로 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탄소배출권 1만톤은 서울 시내 약 7,600여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SK텔레콤 이준호 ESG사업담당은 “ICT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과 환경보호에 기여하고 앞으로도 ESG 경영을 선도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롤스로이스, 전기동력 비행기 ‘스피릿 오브 이노베이션’ 지상주행 완료
- LGU+, 인천 남동산단에 ‘스마트 에너지플랫폼’ 구축
- “제너럴모터스(GM) 이어 포드도 전기차(EV)에 올인”…R&D 투자 확대
- 슈나이더, 데이터센터 인프라 시장 확대…ML 기반 쿨링 솔루션 공개
- SK하이닉스, “데이터 폭증과 환경문제, 저전력 반도체로 기술로 해결”
- 삼성, ‘에코패키지·재생플라스틱’ 등 친환경 TV·영상 제품 확대
- 박정호 SKT 사장, “공간 구애없는 업무환경 구축할 것”
- SKT, ESG경영 가속화…동반성장 CEO 포럼 성료
- SKT·카카오, AI기술 공동 개발…지재권 상호개방으로 협업 확장
- KT, AI 기반 무선전송망(MW) 관제 시스템 상용화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