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보급, 자율주행, 모빌리티 분야 사업비 1,022억 투입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경기도와 현대자동차그룹이 친환경차 인프라 구축과 모빌리티(MaaS/TaaS) 도입 확대를 위해 손잡았다.
양측은 28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이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이번 협약은 4차 산업혁명과 기후위기로 인한 자동차산업 재편에 경기도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관련 민간기업과 협력해 미래먹거리 창출과 도민 교통서비스 혜택 도모를 위해 추진됐다. 3개 부문 5개 사업을 추진하며 사업비는 1,022억4200만원이 투입된다.
우선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상용 수소전기차 보급 지원과 충전소 인프라 확충에 힘쓰기로 했다. 도내 내연기관 청소트럭을 수소청소 트럭으로 바꾸는 교체 실증사업도 추진한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자율주행 시범서비스 운영을 위한 기술개발과 시범운행지구 확대, 교통 인프라 구축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자율주행 여객운송서비스 희망 모빌리티 기업을 대상으로 판교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교통신호정보 서비스 확장에 나서면서 다양한 통신서비스 지원과 자율주행실증단지 활성화에 나선다.
미래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요응답 및 차세대 통합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개발과 사업추진 등에 상호 간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이용자의 호출에 따라 최적경로로 제공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인 ‘경기도형 DRT 시범사업’과 신도시 교통편의성 증대를 위해 공유PM, 카셰어링, 열차, 주차장 등을 단일 플랫에서 검색-선택-예약-결제할 수 있는 ‘신도시 통합교통서비스’ 도입도 추진한다.
경기도는 이번 협약으로 상용 수소전기차 보급 및 수소충전소 구축을 통해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을 견인하고 자율주행 모빌리티 기업의 신성장 동력 확보, 지역 특성 반영한 이용자 맞춤형 교통체계 구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경제·산업계에서의 대대적인 개편은 피할 수 없어 선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이럴 때일수록 정부는 창의·혁신을 바탕으로 한 자유로운 기업 활동이 가능하도록 불합리한 규제는 없애고 합리적 규제로 공정한 경쟁환경을 만드는 것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 역시 환경과 일자리,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중요한 과제들을 마주하고 있는 만큼, 현대차그룹과 전기차, 친환경차, 미래 모빌리티 등 미래 신산업 성장에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강릉시 ‘ITS 구축사업’, LG유플러스 컨소시엄 선정
- SK텔레시스, 통신사업 부문 팬택C&I에 매각…반도체 소재·부품사업 역량 강화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산업 발전 조망하는 토론회 열렸다
- 카카오모빌리티, 금호익스프레스와 셔틀 서비스 신사업 ‘맞손’
- 운송중개 플랫폼 제도권 편입, 3개사 ‘플랫폼 중개사업자’ 등록
- 혁신기술 투자에 최대 300억…민간 펀드 조성된다
- LGD, 철도용 투명 OLED 패널 공개…모빌리티 시장 공략
- “반도체 산업 ESG 환경경영 과제 조망하는 포럼 열렸다”
- SK이노, ‘그린 중심사업’ 전환 선언…“배터리 사업 분할 검토”
- LG, 카카오모빌리티에 1천억 지분투자…‘EV 배터리·충전사업 시너지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