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8월30일부터 9월3일까지 진행된 세계 최대 음성 및 신호처리 학회 ‘인터스피치(INTERSPEECH) 2021’에서 9건의 논문을 발표했다. 네이버는 일본 관계사인 라인이 발표한 논문까지 합산해 총 14건의 논문을 공유했다.
인터스피치는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알리바바 등 글로벌 기업의 음성인식 관련 최신 기술이 공유되는 자리다. ICASSP와 함께 세계 최대의 음성·신호처리 학회로 인정받고 있다.
네이버는 "라인과 올해 6월 개최된 ‘ICASSP 2021’에서 14건의 논문을 발표한 데 이어 이번 인터스피치에서도 14건의 논문을 발표해 AI 역량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인터스피치 2021에서 채택된 네이버의 연구논문은 음성인식, 음성합성, 데이터셋 제작 등에 관련된 것으로,일부 논문은 네이버의 실제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음성합성 품질향상 연구는 ‘클로바더빙’, ‘클로바 스마트 스피커’, ‘네이버 AiCALL’ 등 네이버 클로바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음성 합성 서비스에 적용됐다. 다수의 화자가 동시에 말하는 상황에서 ‘화자분할’을 위해 각 발화자의 특징을 더욱 정확하게 학습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는 ‘클로바노트’ 서비스 개선 등에 활용되고 있다.
네이버가 발표한 9건의 논문 중 5건은 컴퓨터 과학 및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꼽히는 프랑스 연구기관 유레컴을 비롯해, 카네기멜론대학교, KAIST, 연세대학교, 라인 등 국내외 기업, 연구 기관들과 협력 연구로 수행됐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글로벌 AI 연구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네이버는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AI R&D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가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라인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 일본을 넘어, 베트남에서는 HUST, PTIT와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했으며, 유럽에서는 프랑스의 네이버랩스유럽과 연구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인공신경망과 로봇공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독일의 튀빙겐대학교와 공동연구센터 설립에 합의하기도 했다.
정석근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는 “R&D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네이버의 AI 연구혁신 생태계는 그 규모를 더욱 키워가고 있다”며 “인터스피치 2021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것처럼, 앞으로 네이버를 중심으로 구축될 다양한 AI R&D 생태계에서 새로운 성과가 도출되길 기대한다”고 말헀다.
관련기사
- 유니티, AI기반 음향지능 플랫폼 오토(OTO) 인수
- AI원팀, ‘초거대 AI모델’ 개발 본격화…내년 상반기 상용화 목표
- “인공지능(AI)으로 쇼핑리뷰 한 줄 요약”…네이버, ‘초대규모 AI’ 상용화 속도
- 베트남 두 번째 연구거점 확보…네이버, 우정통신대(PTIT)와 공동 AI센터 개소
- 연령대 인터넷 활용법 제각각…“10대는 SNS, 30대는 업무용도 활용”
- 네이버 ‘클로바 케어콜’, 부산시 6개 보건소에 도입
- 네이버,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 연구논문 ‘EMNLP 2021’서 공개
- [톡 with 스타트업] 신소재공학도가 플랫폼 사업가로 변신한 사연
- 삼성, ‘핫 칩’ 연례회의서 AI엔진-메모리 융합 솔루션 공개
- 네이버 클로바노트, 누적 다운로드 80만건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