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통신시설 내년에 903개로 늘어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내년부터 국내 통신기업들이 관리해야 할 중요 통신시설이 900여개로 늘어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제3차 통신재난관리심의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2022년 통신재난관리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제1·2차 심의위원회에서 기 의결한 수립지침과 통신사의 관리 계획을 반영해 5G 기지국 수를 중요 통신시설 등급 지정기준에 반영하고 올해 887개소에서 내년에는 903개소로 중요 통신시설을 늘렸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SKB) 등 통신4사는 2022년 내 신규 지정시설의 통신망과 전력공급망 이원화를 마칠 계획이다. 이번에 의결한 기본계획대로라면 통신망 대상 시설의 99.3%, 전력공급망 대상 시설의 95.7%의 이원화를 마칠 수 있다.

통신4사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ICT를 기반으로 주요 통신시설의 데이터 분석과 광선로 감시 시스템 등도 고도화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통신망 안정성이 중요해졌다. 내년에도 중요 통신시설을 관리해 안정적인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