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7개 가맹점협의회와 상생간담회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호출 서비스인 ‘카카오T 블루’에서 발생하는 취소 수수료의 일부를 기사들도 받도록 배분정책을 개편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달 21일 전국 7개 지역 카카오T 블루 가맹점협의회와 상생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요구사항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그간에는 카카오T 가맹본부인 KM솔루션과 DGT모빌리티가 취소수수료 절반을, 택시 가맹점 사업자가 나머지를 가져갔다.

이번 정책 변경으로 향후 가맹본부가 20%, 기사가 30%, 가맹점 사업자가 50%를 각각 배분받게 된다.

가맹점협의회는 지역별 개인·법인택시 가맹점들의 협의체다. 지난해 10월 서울에서 먼저 발족했으며 대구, 광주, 부산, 인천, 대전, 포항에서 결성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협의회와 카카오T 가맹본부 KM솔루션, DGT모빌리티의 상생협력 방안을 모색해 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각 지역별 가맹점협의회를 통해 전달된 공통된 요구 사항으로 ▲︎사업자 부담 완화 ▲︎︎기사 수급 어려움 해소 ▲︎︎서비스 품질 관리 관련 소통 강화 ▲︎앱·가맹 서비스 운영 고도화 ▲︎상생기금 지원 등의 사안을 공유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요구 사항 중에서 관계부처 협의, 이용자 수요 확인 등의 절차 없이 양측의 협의를 통해 바로 진행 가능한 사안을 우선 과제로 선정하고 1분기 내에 빠르게 적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측은 가맹택시 영업 활성화를 위한 솔루션 개발, 시스템 고도화 등 추가적인 기술 및 인프라 투자가 지속 필요하고, 이러한 투자가 장기적으로 카카오T 블루 가맹점들의 수익증대에도 기여하기에 수수료 조정에 대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는 데 합의했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는 단기적 이익보다는 영업 효율성 증대, 추가 수익 채널 확대와 같은 가맹점들의 장기적 수익 증대 방안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다만 “카카오 공동체 차원에서 추진하는 상생기금 운용 방안에 대해서는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는데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모빌리티 MaaS 사업실 신동훈 상무는 “가맹택시 업계와 상생 실천을 위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경청해 바로 진행 가능한 사안들은 빠르게 적용하는 한편, 가맹택시 생태계가 유의미한 규모로 성장해야 업계, 크루, 이용자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기에 장기적 관점에서 함께 성장 가능한 방안도 끊임없이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