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와 IBM이 15일 ‘퀀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양자컴퓨팅 생태계 확대와 협업 활성화를 위한 자리로 마련됐으며 연세대 장기원 국제회의실과 온라인을 통해 동시 진행됐다.
심포지엄에는 연세대와 IBM은 물론, LG전자, KAIST, ETRI 등 국내 선도기업 및 대학, 정부 연구소가 참여해 양자컴퓨팅 기술이 국내외 산업과 연구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상호 간 이해를 높이는 한편, 향후 다양한 사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환영사에 나선 연세대 서승환 총장은 “기존의 기술과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 경제적인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양자컴퓨터가 떠오르고 있다”며 “연세대와 IBM이 설립하는 양자컴퓨팅 데이터센터를 국내 기업, 대학, 연구소들이 참여하는 양자컴퓨팅 생태계의 허브로서 활용하는 한편, 국내 학술연구 및 소프트웨어 개발 등 교육과 연구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이 감베타 IBM 부사장은 기조 연설에서 “최근 보스턴컨설팅그룹의 보고서에 따르면, 양자컴퓨팅은 최대 8,500억달러 이상의 시장 가치를 창출할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최근 발표한 연세대와 같이 기업, 정부, 스타트업, 대학 등 170여 개 회원사로 구성된 글로벌 커뮤니티인 IBM 퀀텀 네트워크를 통해 양자 생태계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동호 LG전자 책임연구원, 이학배 연세대학교 교수, 최병수 ETRI 양자 창의연구실장이 양자컴퓨팅의 도입과 활용 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강연을 진행했다.
IBM 퀀텀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백한희 박사의 진행으로 문경순 연세대 교수, 이준구 KAIST 교수 등 국내 양자컴퓨팅 분야 전문가들이 강연자들과 함께 참여하는 패널 토론을 통해 국내에서의 양자컴퓨팅 기술 발전과 실용적인 응용 분야를 모색하기 위한 의견을 교환했다.
관련기사
- “2022년, 이 기술이 뜬다”…ETRI, 10대 기술 트렌드 발표
- SKT, 국내 최초 양자암호 전송암호모듈 인증 획득
- 과기정통부, 양자·반도체 등 원천연구개발에 904억 투자
- LG전자, IBM 퀀텀 네트워크 합류…AI·빅데이터·커넥티드카 등에 활용
- IBM, 127큐비트 구현한 양자컴퓨팅 프로세서 ‘이글(Eagle)’ 공개
- 연세대, 국제캠퍼스 YSP에 ‘IBM 양자컴퓨팅 데이터센터’ 유치
- “데이터 암호화 속도, 1만배 높인다”
- 인텔·큐텍, 양자 상호연결 병목 해결 위한 연구성과 공개
- KT,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랑톡’ 업데이트…“스팸 구분해 수신 가능”
- 한국IBM, 컨설턴트 신규 채용으로 컨설팅 역량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