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지난해 11월 업계 최초로 개발한 14나노(nm) 기반의 LPDDR5X D램을 퀄컴 최신 모바일 플랫폼에서 성능검증을 마치고 저전력 D램 시장 공략에 집중한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모바일 플랫폼에 LPDDR5X D램 8GB 패키지를 탑재해 업계 최고 동작 속도인 7.5Gbps를 검증했다.
LPDDR5X D램은 전 세대 제품인 LPDDR5 대비 약 1.2배 빠른 속도를 지원하면서 초고해상도 영상 촬영과 인공지능(AI)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혁신적인 회로설계와 저전력 동적전압기술(DVFS)을 구현해 기존 LPDDR5 대비 소비전력을 약 20% 줄였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향후 성능, 용량을 높인 LPDDR5X D램을 글로벌 고객사에게 적기에 공급해 차세대 플랫폼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프리미엄 저전력 D램 시장에서 입지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퀄컴테크놀로지 제품관리 담당 지아드 아즈가 부사장은 “스냅드래곤 플랫폼과 LPDDR5X D램은 게임, 카메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AI엔진 성능 향상과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 한진만 부사장은 “양사 협업을 통해 모바일 제품 뿐 아니라 메타버스, 오토모티브, 게임/AR/VR, 고성능PC, AI 등 저전력 D램 시장의 응용처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에너지 가격 급등에도 2월 무역수지 흑자 전환
- ACM리서치, 12인치 벤치 시스템용 ULD 기술 지원 확장
- MWC 개막 D-1, 관람객 맞이 나선 통신3사…“신기술 시연, 글로벌 협력 모색”
-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 커졌다…“원유 가격 오르고, 반도체 가격 내리고”
- 지멘스EDA, 인텔파운드리서비스(IFS) 얼라이언스 창립멤버로 합류
- SK하이닉스, PIM 적용한 지능형 메모리칩 ‘GDDR6-AiM’ 첫 선
- 올해 전세계 팹(Fab) 장비 투자액 10% 증가…980억달러 ‘역대 최고’
- SK하이닉스, 24Gb DDR5 샘플 출하…‘단일 칩 최대용량’
- 올해 반도체 장비 투자액 1,030억 달러, D램 투자 전년비 52% 급증
- 과기정통부, GSMA와 메타버스 분야 상호협력 MOU 체결
최태우 기자
taewoo@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