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이상 반도체·소재 부문 투자

SK 서린사옥 [사진=SK]
SK 서린사옥 [사진=SK]

SK그룹이 배터리(Battery)와 바이오(Bio), 반도체(Chip) 등 핵심 성장동력 강화를 위해 2026년까지 247조원을 투자한다고 26일 밝혔다. 투자금의 절반 이상인 142조원이 반도체와 관련 소재에 투입된다.

각 3개 분야의 영문 앞자를 따 ‘BBC’ 산업으로 약칭하고 이를 키워갈 5만명의 인재도 국내에서 채용하기로 했다.

SK그룹은 “글로벌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상황에서 성장과 혁신의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투자와 인재채용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배경을 밝혔다.

SK그룹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반도체라고 보고 반도체와 관련 소재에 전체 투자 규모(247조원)의 절반 이상(142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SK그룹은 2030년 기준 전세계 탄소감축 목표량(210억톤)의 1%인 2억톤의 탄소를 줄인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기차(EV) 배터리와 관련 소재, 수소, 풍력,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미래산업에 67조원을 투자한다.

구체적으로 2026년까지 ▲반도체와 소재 142조2000억원 ▲EV 배터리 등 그린 비즈니스 67조4000억원 ▲디지털 24조9000억원 ▲바이오 및 기타 12조7000억원을 투자한다. 전체 투자금의 90%가 BBC에 집중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

반도체 및 소재 분야 투자는 강화하기 위한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집중됐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비롯해 반도체 팹(Fab) 증설, 특수가스와 웨이퍼 등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 설비증설 등이 투자 대상이다.

그린에너지 분야는 EV 배터리와 분리막 생산설비를 증설하고 수소 등 최근 주력하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를 갖추거나 글로벌 기업에 투자해 그린에너지 기술·경쟁력을 강화하는 재원으로 활용된다.

바이오 분야는 뇌전증 신약과 코로나19 국내 백신 1호 개발 신화를 이어갈 후속 연구개발비와 의약품위탁생산시설(CMO) 증설 등이, 디지털 분야는 유무선 통신망과 ICT콘텐츠 개발 등이 주요 대상이다.

SK그룹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2026년까지 향후 5년간 5만명의 인재도 채용하며 고용창출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