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광화문 사옥
KT 광화문 사옥

KT가 소규모 기업이 고가의 장비나 별도 운영 인력 없이도 악성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보안 인터넷 서비스 ‘KT 세이프넷(KT SafeNet)’을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최근 해킹공격이 늘면서 대상 역시 대기업뿐 아니라 소기업과 개인으로도 보안 사고가 확대되고 있다. 정부의 e-나라지표 통계를 보면 최근 3년간 국내의 침해 사고 접수 건수는 2019년 418건에서 2020년 603건, 2021년 640건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1년 중순까지 해킹공격으로 피해를 입은 민간 기업 중 중소기업의 비중이 전체의 90%를 차지했다.

소규모 기업에서도 인터넷 보안 강화의 인식은 높이진 상태나 비용과 인력 측면의 부담이 크다. KT는 이와 간은 상황에서 낮은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제공하는 보안 인터넷 서비스를 출시하게 됐다고 배경을 밝혔다.

KT 세이프넷은 보안 장비를 구축하거나, 인력 없이도 인터넷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다. 

KT의 위협DB에 등록된 해킹 사이트의 1차 차단이 가능하며 차단 시 차단 종류(피싱/파밍/정보유출/랜섬웨어/악성코드 등)를 분류, 각 유형에 맞는 예방 가이드와 간단한 대처 방법도 제공한다. 매달 정기 차단 이력 보고서도 제공한다.

KT 서비스넷 구성도
KT 서비스넷 구성도

서비스 가입 시 제공되는 KT 프리미엄 PC백신(1대용 라이선스)을 통해서는 PC 보안 기능과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지정된 센터를 통해 데이터 복구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KT는 내달까지 KT 세이프넷에 가입하는 소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2개월 무료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KT 민혜병 Enterprise서비스DX 본부장은 “해킹공격의 지능화로 중소형기업 대상 보안위협 확대가 커지고 있다”며 “보안 역량이 취약한 중소기업고객의 통신과 보안 DX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