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싱 정보분석으로 정확도 98%, SaaS 형태로 공급
LG유플러스가 스마트레이더시스템과 함께 U+스마트레이더를 활용한 ‘실시간 공간객체 모니터링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U+스마트레이더는 노인보호시설이나 장애인 화장실 등에 설치된 77GHz 레이더 센서를 통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안전사고,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서비스다.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고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최대 5명까지 동시 감지할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양사는 복수의 칩과 안테나를 사용해 레이더의 해상도를 높이고 AI 기반 센싱 정보 분석기능을 통해 자세와 낙상여부를 감지하는 정확도를 98%까지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상 징후가 발견된 객체의 동선을 최대 일주일 동안 추적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했고, 문제가 발생하면 관리자에게 문자메시지(SMS)로 즉시 알려주는 기능도 탑재했다.
LG유플러스는 현재 이 서비스를 구독형으로 제공하기 위해 자체 클라우드에 U+스마트레이더를 수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플랫폼을 구축했다.
LG유플러스는 구독형 U+스마트레이더와 AI/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독거노인가구, 학교, 공공화장실 등 안전상황 감시가 필요한 시장에 진출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데이터 패턴 분석을 활용해 평소와 다른 행동이나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Lab장(담당)은 “U+스마트레이더 기술은 프라이버시 문제없이 안전사고를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다”며 “비접촉식으로 이상징후를 감지·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여 안전사고 감시가 필요한 다양한 산업분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용환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대표는 “혁신적인 4차원 이미징 레이더로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우리사회가 발전하는데 디딤돌이 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T·이지스, 디지털트윈(DW) 신사업 ‘맞손’…플랫폼 공동사업 시동
- LGU+, 가천대와 인천 남동구서 ‘스마트 실버케어’ 실증
- LGU+, 넷온과 요양시설 대상 지능형 CCTV 사업 ‘맞손’
- SKT, 양자암호 강소기업과 생태계 확장 가속화
- 한컴로보틱스, 멘큐와 실버케어 서비스 로봇 개발
- LGU+, 레이다 센서 기반 낙상감지 서비스 실증…내년 본격 상용화
- 한컴-이대목동병원, 의료용 로봇 개발 추진
- 서비스 품질 높인다…LGU+, 대전 R&D센터에 CX혁신센터 개관
- 최준일 KAIST 교수, IEEE 이동체공학 최우수 논문상 수상
- LGU+, 3GPP 표준기술 장비 ‘NWDAF’ 실증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