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현식 사장, “4대 중심사업 추진, 고객 디지털 접접 확대”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 중심 플랫폼으로 유플러스 3.0 시대를 열겠다.”
LG유플러스가 15일 오전 서울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사업 전반의 중장기 성장전략을 공개했다. 플랫폼 사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유플러스 3.0(U+3.0)’ 시대를 열겠다고 선포했다.
황현식 사장은 이날 라이프스타일-놀이-성장케어 등 3대 신사업과 웹 3.0으로 대표되는 미래기술을 ‘4대 플랫폼’으로 구성, 고객경험 혁신의 발판을 마련할 것을 밝혔다. 고객과의 디지털 접점을 확대하고 데이터를 활용, 고객을 심층적으로 이해해 고객의 체류시간을 늘리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황 사장은 이날 공개한 중장기 성장전략을 통해서 2027년 비통신사업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하고 기업가치도 12조원까지 성장할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황 사장은 “텔레콤-데이콤-파워콤이 각각 유무선 사업을 전개하던 시기를 1.0, 3사 합병 후 LTE/5G를 기반으로 통신사 선도 이미지를 구축·도약한 시기를 2.0으로 정의한다면, 전통적인 통신사업 영역을 넘어 고객 중심 플랫폼을 구현해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3.0 시대를 열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이 늘어야 한 차원 높은 고객경험 혁신이 가능하다”며 “고객을 이해하기 위한 데이터 확보에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통신사업에서 DIY요금제/eSIM 등을 통해 디지털 접점을 늘리고 고객 데이터를 면밀히 파악해 일상에서 자주 이용할 수 있는 구독·루틴 서비스와 연계해 나간다는 목표다.
추후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사업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헬스케어, 펫, 여행 등 연계사업을 전개하면서 5년 후 700만명이 이용하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콘텐츠와 OTT 라인업도 확대하며 IPTV(U+tv) 서비스 고도화도 꾀한다. OTT 시장 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OTT TV’로의 진화를 목표로 팬덤이 확실한 자체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고도화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콘텐츠를 시청한 고객 반응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콘텐츠 제작에 반영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플랫폼에 차세대 기술 트렌드인 웹 3.0에 따라 고객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모델 발굴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고객의 플랫폼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아이돌/콘텐츠 NFT 등 웹 3.0 방식의 보상체계를 마련하고, 메타버스 등 기술영역의 연구개발(R&D)과 스타트업 투자를 확대하면서 핵심기술 확보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황 사장은 “한 차원 높은 고객경험 혁신을 위해서는 고객이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이 길어져야 한다”며 “유플러스 플랫폼에서 고객의 모든 시간이 소비되도록 4대 플랫폼 사업을 치열하게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SKT, AI 기반 무선망 적응기술 검증완료…상용망 적용 시작
- KT, 데이터브릭스와 AI·빅데이터 솔루션 비즈니스 ‘맞손’
- “와이파이 신호 업그레이드”…LGU+, 필름형 투명안테나 개발
- 9월 1주차 콘텐츠 통합 랭킹…tvN ‘작은 아씨들’ 방영 첫 주에 1위
- LGU+, 람다256과 맞손…웹 3.0 생태계 ‘더밸런스’ 참여
- KT, 투르크텔레콤과 맞손…“K-콘텐츠 공급, 스타트업 투자·신사업 협력”
- [그것을 알려주마] 티빙-시즌 합병으로 알아보는 OTT업계의 생존전략
- 5G 특화망 지원센터 개소…특화망 이용 활성화 지원 확대
- ‘디지털 혁신기업’ 선언한 황현식 사장…“비통신 매출 30%대 확보할 것”
- 벤처기업협, 국민의힘 만나 규제혁신 위한 현장목소리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