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연 보고서, 하이브리드차 과도기 기술 활용성 전망
중국정부의 정책 변화로 중국 자동차업계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와 하이브리드차 양산에 관심을 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9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중국 더블 크레딧 제도 개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정부가 더블 크레딧 제도를 개정하면서 2024년부터 중국 자동차 제조사가 얻는 크레딧 개수가 줄어들 전망이다.
크레딧은 정부 정책 목표치에 대한 승용차 제조사의 달성도를 점수화한 것이다. 내연기관차 연비 도달지표(CAFC) 크레딧은 제조사가 생산하는 모든 승용차의 평균연비가 높을수록, 신에너지차 생산 대수 지표(NEV) 크레딧은 친환경차 생산 대수가 많을수록 유리하다.
크레딧 총점이 플러스인 제조사는 이를 타사에 판매해 이익을 얻고, 총점이 마이너스인 제조사는 내연기관차 생산량을 줄이거나 타사의 크레딧을 구매해 마이너스를 상쇄할 수 있다.
중국 전기차(BEV) 제조사는 전기차 자체 수익률이 낮더라도 크레딧을 판매해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었으나 더블 크레딧 개정으로 크레딧 수익성이 낮아져 중국 BEV 제조사가 사업구조를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번 개정안에는 제조사가 확보해야 하는 최소 크레딧 개수 상향, BEV 한 대 생산 시 얻게 되는 NEV 플러스 크레딧 상한 축소 등의 내용이 담겼다. 올해 크레딧이 초과 공급되면서 크레딧 거래 가격이 하락했고 내년부터는 신에너지차 국가보조금 지원 제도도 종료될 예정이다.
한자연은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크레딧 자체 확보를 위해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와 하이브리드차의 생산을 늘릴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 생산을 확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하이브리드차를 과도기 기술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한자연은 “올해 1월~7월 중국 플러그인하이브리드 판매량 증가율이 전년동기비 190.5%로 BEV(106.9%)보다 높았다”며 “중국 현지 승용차 제조사들이 하이브리드차로 제품군을 이미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AMD, 中 모빌리티 스타트업 ‘이카스’와 디지털콕핏 개발
- 로옴, 中지리자동차와 전장부품 기술 고도화 협력 강화
- “2027년 자율주행기술 레벨4 상용화, 제도적 개선 시급”
- “전장반도체, 내년까지 보릿고개”…TSMC 위탁생산 의존도, 더 커진다
- 한자연, “수소전기차 연료전지 활용한 발전사업 성장세”
- 전기차(EV) 보조금 줄인 한국…한자연, “보조금 정책 탄력적 운영 필요”
- 판 커진 UAM 생태계, 보잉·현대차 등 항공·자동차기업이 뛰어든 이유는?
- 바이두, “레벨4 자율차 양산시작, 로봇택시 운영한다”
- 성능 높이고 화재위험 낮추고…ETRI, 이차전지 난연 첨가제 개발
- KT IVI 플랫폼, 2023년식 포드·링컨 차량에 탑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