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OTT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작비를 세액 공제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사진=게티이미지]
정부가 국내 OTT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작비를 세액 공제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사진=게티이미지]

정부가 국내 OTT서비스를 전세계 시장에서도 통하는 브랜드로 키우고자 제작비를 세액 공제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다.

또 국내 OTT 홍보를 위해 부산국제영화제 등 인지도 높은 국제행사에서 ‘글로벌 OTT 어워즈(가칭)’를 여는 방안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열린 비상 경제장관회의에서 국정 과제인 ‘글로벌 미디어 강국’ 실현을 위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산업혁신 및 글로벌 전략’을 발표했다. 3대 미디어로는 OTT,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미디어가 선정됐다.

정부는 우선 국내 OTT 경쟁력을 높이려면 우수 오리지널 콘텐츠의 지속적인 보급이 중요하다고 판단, 현재 영화, 방송에만 적용 중인 제작비 세액공제를 OTT까지 확대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현재 영화와 방송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국내에서 지출한 비용에 대해 중소기업은 10%, 중견기업은 7%, 대기업은 3% 상당의 세액을 공제한다.

아울러 부산국제영화제 등 인지도 높은 국제행사에서 가칭 ‘글로벌 OTT 어워즈’를 여는 방안도 추진한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등 정부 고위급 회담에서 국내 OTT·콘텐츠 기업을 적극 소개하고 해외 6곳에 있는 ‘IT지원센터’에서 시장 조사 등 현지 진출을 도울 방침이다. 현지어로 더빙이나 자막을 제공하는 자동화 기술도 지원한다.

아울러 국내 OTT의 글로벌 진출 등에 투자하는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6,558억원인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관련 펀드의 운용 규모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간접광고 규제를 완화해 콘텐츠 업계 수익 기반을 확충하고 수익이 콘텐츠 투자 확대로 이어지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메타버스 육성과 관련해서 ‘2030 부산 월드엑스포’ 등 대형 국제행사에서 국내 메타버스 기술로 전시관을 마련하고 메타버스 회의도 진행할 계획이다.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청년 개발자 양성과정인 메타버스 아카데미도 확대한다.

크리에이터 직군 양성과 관련해서는 전문성과 직업 환경 개선에 초점이 맞춰졌다. 과기정통부는 크리에이터-기획사(MCN)-콘텐츠 플랫폼 간 수익배분 현황을 조사하고 자신이 만든 콘텐츠가 플랫폼 등에서 얼마나 이용됐는지 정보를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1인 미디어 종사자 권리 보장을 위해서는 표준계약서 활용을 지원하고 서울 1인 미디어 콤플렉스에 노무·법률 상담창구도 운영하기로 했다. 실감형 1인 콘텐츠 기획자 교육 프로그램과 자격증 신설도 추진, ‘1인미디어진흥법(가칭)’을 제정해 크리에이터 지원도 체계화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