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사업전략 연계한 기술 전시
SK이노베이션이 내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3’에서 ‘카본 투 그린(Carbon to Green)’ 달성을 위한 최신 기술을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사업 자회사인 SK에너지·SK지오센트릭·SK엔무브·SK온·SKIET·SK어스온 등과 함께 CES 2023에 참여한다. SK그룹 최초로 CES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SK온 전기차(EV) 배터리를 포함해 글로벌 파트너사와 구축한 미래 성장 포트폴리오 컨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CES에서 SK이노베이션 계열 5개 제품이 8개 혁신상을 받았다. SK온의 SF배터리(Super Fast Battery)와 SKIET의 플렉서블 커버 윈도(FCW)는 최고혁신상을 받았다.
SK온 SF배터리는 니켈 함량이 83%에 달하는 하이니켈 배터리다. 한번 충전에 400km 이상 주행할 수 있고 18분 만에 80%까지 충전이 가능해 현재 시판되는 전기차 배터리 중 가장 빠른 충전속도를 갖췄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배터리는 아이오닉5, EV6에 탑재됐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FCW는 폴더블-롤러블 전자기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신소재다. 투명 폴리이미드(PI) 필름과 기능성 하드코팅으로 구성돼 폴더블폰, 롤러블 TV 디스플레이에 사용된다.
SK지오센트릭은 차량용 경량화 소재 UD테이프로 처음 혁신상을 수상했다. UD테이프는 플라스틱에 섬유 형태의 강화제를 더한 고기능 복합소재다. SK온의 NCM9+ 배터리, SK아이이테크놀로지 배터리 분리막(LiBS) 제품도 혁신상을 받았다.
글로벌 파트너사들의 기술도 CES 2023에서 소개된다. SK이노베이션과 SK온은 지난해 투자를 진행한 미국 솔리드파워의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을 선보인다.
이 제품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33%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며 전기차 탑재 시 1회 충전으로 약 930km의 주행거리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순환경제 재활용 분야에서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다시 석유를 뽑아내는 SK지오센트릭의 ‘도시유전’이 소개된다. 폐플라스틱을 고온으로 가열해 만든 열분해유에 자체 보유한 후처리 기술을 적용해 품질을 개선하면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에 투입할 수 있다.
SK이노베이션 김우경 PR담당(부사장)은 “CES 2023에서 SK이노베이션의 친환경 사업 전략 및 미래 방향성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자체 보유한 기술에 각 분야 글로벌 선도 및 유망기업과의 투자,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엔솔, 오창공장 신·증설에 4조원 투자한다
- SK, ‘CES 2023’ 참전…파트너사와 40여개 친환경 기술·제품 공개
- LG화학, 美 테네시주에 양극재 공장 짓는다
- KAIST 홍승범 교수팀, 왜곡 신호를 제거한 전자전도도 영상화 기법 개발
- LG엔솔·GM 합작법인 美 배터리공장, 노조 설립되나
- “쾌속 성장하는 전기차(EV) 시장…심화되는 패권경쟁”
- SK, SMR 설계기업 美 테라파워에 3천억 투자…‘넷제로’ 실행 속도전
- “전기차·자율차 시장 열린다”…인수합병(M&A)·합작회사(JV)로 투자 활성화
- 노스볼트, 11억 달러 규모 자금조달…전기차(EV) 배터리 경쟁 심화
- SK, 실리콘밸리서 ‘SK 글로벌 포럼’…“미래 성장동력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