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약 5조60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지원 계획을 담은 ‘2023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시행계획’을 공고했다. 올해 산업부 R&D 예산은 지난해(5조5000억원) 대비 2.3% 증가했다.

산업부는 2018년 이후 핵심소재의 공급망 위기, 코로나19 확산 등 경제 위기 극복과 국가 전략기술 확보를 통한 미래 신시장 창출을 위해 R&D 투자 확대에 나서고 있다.

산업부는 올해 산업기술 R&D 예산은 새 정부의 국정비전 중 하나인 ’역동적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핵심 국정과제 분야에 투자를 집중했다고 전했다.

먼저 경제안보 확보와 미래 산업의 주도권 선점을 위해 성장 가능성과 파급효과가 큰 미래 첨단전략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위한 투자를 확대했다.

반도체, 이차전지, 첨단 바이오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 분야에서의 미래전략기술 개발을 위해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에 743억원, 주력산업의 데이터 수집·처리에 필요한 센서 기술개발을 위한 ‘k-sensor 기술개발사업’에 277억원을 배정했다. 

‘해수이차전지대용량모듈화’ 지원에 53억원,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에 1144억원, ‘백신원부자재생산고도화기술개발‘에 84억원 등을 지원한다.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에 1,356억원, ‘에너지인력양성사업’에 504억원을 지원하며 반도체 분야 고급 전문인력양성을 위해 ‘민관공동투자반도체고급인력양성사업’에 100억원을 신규 배정했다.

핵심소재의 자립화,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목표로 한 ‘신산업통상전략(산업공급망 안정화)’ 목표 이행을 위한 투자도 가속화한다.

수요연계형 R&D 확산, 소재·부품의 해외의존도 완화, 핵심장비의 원천기술 확보 등 소부장 분야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해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에 9,375억원,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에 1864억원,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에 1,538억원을 투입한다.

차세대 정밀화학소재 제조기술 개발 지원을 위한 ‘고부가정밀화학소재개 사업’에도 30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산업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고 저탄소 제조 혁신 지원을 통한 ‘주력산업의 고도화’ 지원도 강화한다.

디지털 기술의 접목으로 주력산업의 생산성·부가가치 혁신을 위해 제조현장의 로봇 개발·보급 등 생산 공정 최적화, 가상 협업공장 구축 등을 목표로 ‘로봇산업기술개발’ 1,069억원,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1,186억원, ‘DX한걸음프로젝트’ 83억원, ‘디지털협업공정구축기술개발’ 50억원 등을 편성했다.

탄소중립 한계기술 돌파 및 제조업의 저탄소 가속화를 위해 4대 다배출 업종별 최적 감축기술 및 기업 수요기반의 현장형 탄소중립 기술 개발도 본격화한다. 

친환경·지능형 모빌리티 혁신을 위해 자율운행 SW 플랫폼과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핵심기술을 비롯한 친환경·자율차 기술개발, 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스마트·친환경 선박 기술개발 및 실증·건조 플랫폼 기반구축 지원 등의 지원도 확충한다.

도전적·개방형 R&D 지원 활성화를 통한 산업기술 R&D의 시장성·혁신성 향상을 위해 ‘수요자 지향 R&D 혁신’ 분야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정부 R&D의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해 민간 모험자본 등의 투자를 전제로 한 R&D 지원 등도 확대됐다.

차세대 원전 혁신기술 개발 지원 등을 통한 원전 생태계 복원 가속화를 위해 ‘원전해체경쟁력강화기술개발사업’, ‘혁신형소형모듈기술개발사업‘에 본격 착수하고 원전 안전성 향상 및 핵심 부품·기자재의 혁신기술개발을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이외 안정적 전력공급을 지원하는 미래형 전력망, 태양광·풍력고도화, 수요관리 등 에너지 신산업, 수소·핵심광물 확보 등 자원안보 R&D 지원을 위한 에너지신산업신시장 육성 분야에 7,156억원을 편성했다. 

중견기업의 세계적 기업으로의 성장 지원을 위한 맞춤형 지원 강화와 함께 지역혁신 클러스터 육성, 기업의 지방 신규투자 지원, 산업단지의 디지털화·친환경화 등 고도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