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보안 종합상황실 운영…OS·보안 최신화 필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우8.1 운영체제(OS)에 대한 기술지원이 10일 종료된다. 기술지원 종료에 따라 신규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사이버공격 등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윈도우8.1 기술지원 종료에 따른 사이버위협 등 비상상황을 대비해 ‘윈도우 8.1 기술지원 종료 관련 보안 종합상황실’을 운영할 방침이다.
종합상황실은 기술지원 종료 후 발생할 수 있는 신규 취약점을 악용한 사이버위협을 집중 감시하고 악성코드 출현 시 즉시 유관기관, 보안기업과 협력해 맞춤형 백신 개발·보급을 진행,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대응할 방침이다.
기술지원 종료는 OS 오류, 신규 보안 취약점 개선 등을 지원하는 윈도우 업데이트의 중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침해사고 발생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8.1 이용자는 최신 OS로의 교체가 권고된다.
과기정통부 김정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국내 윈도 8.1 사용은 약 1% 수준으로 파악되지만,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침해사고 예방과 대응을 위해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하겠다”며 “사용 중인 컴퓨터가 해킹위협에 노출되지 않도록 최신 OS로 교체하고 보안 최신화 여부도 확인해 주실 것”을 당부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KISA는 윈도우8.1 기술지원 종료에 따른 최신 브라우저 사용과 보안 업데이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케이알서트/시시(KrCERT/CC) 누리집 보안공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미개방데이터 분석·활용 데이터안심구역 4개소 지정
- 과기정통부, 첨단바이오 원천기술개발에 5,594억원 투자
- 구현모 ‘안전·안정 운용’ 강조한 날, KT 유선 인터넷 서비스 장애
- 디지털전환(DT)의 그림자…“사이버범죄 위험성, 크게 늘었다”
- “2023년 아태지역 사이버보안 위협 증가할 듯”
- “국내 기업, IT 예산의 10% 사이버보안에 투자했다”
- 과기정통부 “올해 민간분야 사이버위기대응훈련 488개사 25만명 참여”
- 하이브리드 시대 맞춤, ‘윈도우11’ 공식 출시
- LGU+, 18만명 고객 정보 유출…“재발 방지책 마련하겠다”
- 과기정통부, 제3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계획 공청회 개최
오현식 기자
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