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스티헤르츠와 맞손, 시민조합이 생산한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
카카오 제주 오피스가 ‘RE100’을 달성했다. RE100은 재생가능 에너지 100%(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니셔티브다.
1일 카카오에 따르면, 지난해 체결한 식스티헤르츠와의 협약을 통해 전국시민발전협동조합연합회에 소속된 전국 각지의 시민조합이 생산한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했다. 식스티헤르츠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솔루션을 제공해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소셜벤처다.
연합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에너지 협동조합 연합 단체로 90여개의 시민조합과 약 1만명의 조합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회원들은 약 240개의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며 태양광 에너지를 생산한다.
카카오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사회적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시민의 손을 통해 직접 생산된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구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제주 오피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소모된 전력의 전량을 친환경 태양광 에너지로 조달했다.
이번 제주 오피스 RE100을 기점으로 카카오는 향후 재생에너지 조달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사업 운영 과정에서 이용하는 전체 전력 사용량을 2030년까지 60%, 2040년까지 100%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카카오 박훈영 환경경영TF장은 “제주 오피스 RE100 달성은 기업을 넘어 사회적 차원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 “카카오와 이용자, 파트너를 비롯해 사회구성원 모두가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다양한 임팩트로 이어져 함께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추진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카오, 서비스 피해 소상공인 지원금 지급 절차 개시
- KT, 몽골정부와 80여종 광물자원 공급 MOU 체결
- “카카오가 내놓은 보상안의 한계, 그리고 쏘아올린 작은 공”
- LG엔솔, 한화그룹과 배터리 전방위 협력…美 ESS 시장 확대 ‘맞손’
- SK에너지, 도심형 연료전지 융복합 사업 확대
- 네이버, 한국수자원공사와 MOU…사옥·IDC에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 에퀴닉스,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용 최적화
- 네이버, 제2사옥 ‘1784’에 제3자 PPA 재생에너지 도입
- SKT, ‘ESG 코리아 2021’ 얼라이언스 워크숍 성료
- 레노버, “2050년 넷제로 달성” 목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