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가 공식 출범했다.
스마트+빌딩은 일상생활의 수요 및 기술·서비스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유연성과 포용성을 갖춰 도심항공교통(UAM)과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공간·구조·설비 등을 갖춘 건축물을 말한다.
첨단기술을 담아내는 플랫폼인 스마트+빌딩이 성공적으로 확산되면 건물 안과 밖에서 각종 서비스가 끊어짐 없이 제공되는 ‘라스트인치 서비스’를 통해 국민일상의 편의가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UAM을 활용해 경찰·소방관 등이 재난 현장에 교통정체 없이 빠르게 이동하거나 방송국에서 각종 첨단기술을 활용해 신속한 재난 방송을 할 수 있으므로 공공건축물에 우선 적용할 경우 국가 재난 대응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는 이번에 출범한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조기 상용화라는 시대적 과제에 부응해 국민의 스마트 행복추구권을 보장하고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했다.
얼라이언스 공동위원장은 원희룡 장관과 인하대학교 하헌구 교수가 맡았으며 로봇·UAM·자율주행·IT·건축·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민간 기업을 비롯해 학계 전문가, 청년, 관계부처와 공공기관이 참여한다.
민간 기업과 전문가 및 청년 중심으로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민간이 선도 모델을 제시·이행하면 정부는 제도개선, 정부 투자 등을 통해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다.
얼라이언스는 기술·비즈니스·인증 3개 분과로 구성되며 각 분과별 회의를 통해 규제 개선과 인센티브 부여 필요사항을 발굴하고 건축물에 첨단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R&D 사업과제 발굴도 협업할 예정이다.
출범식을 시작으로 얼라이언스는 약 6개월 동안 활발한 논의를 통해 스마트+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상반기 중 초안을 마련하고 연말까지 의견수렴을 통해 확정한 후 이를 적극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원희룡 장관은 “모빌리티·로봇 등 다양한 혁신기술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플랫폼인 스마트+빌딩을 통해 앞으로 우리기업이 무궁무진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체감하고 관련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카카오모빌리티, 온라인 소상공인 상생 생태계 구축
- 다쏘시스템 정운성, “디지털트윈(DW) 아닌 버추얼트윈(VT)이 DT 핵심”
- 중기부, 규제자유특구 성과 발표…‘투자유치 4조, 매출 1천억, 고용 4천명’
- KT 운송 플랫폼 ‘리스포(LIS’FO)’, 롯데온에 확대·적용
- 카카오모빌리티, 배송대행 4개사와 라스트마일 생태계 구축 ‘맞손’
- 최신 자동차 기술·트렌드 조망, ‘오토모티브월드 2023’ 도쿄서 열린다
- 쏘카·리코, 맞춤형 차량 관제·관리시스템(FMS) 공동사업 '맞손'
- IoT 멀웨어 감염 진원지는 중국·미국·인도·한국
- KAIST 이승섭·윤준보 교수팀, 투명 스마트 복합필름 상용화
- 제조·에너지 산업, IoT 봇넷 주요 타깃으로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