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말까지 개화역-신논현역 25개 역사에 구축
LG유플러스가 국제통신공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서울 지하철 9호선에 LTE-R 구축 본격화를 알리는 착수보고회를 가졌다고 13일 밝혔다.
서울시메트로9호선 본사에서 열린 착수보고회는 LG유플러스 최택진 기업부문장(부사장), 서울시메트로9호선 배현근 대표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LTE-R은 4G 무선통신 기술인 LTE를 철도 환경에 최적화한 철도 통합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주파수공용통신(TRS), 초단파(VHF)와 같은 기존의 음성 위주 무선통신기술과 달리 음성과 영상, 데이터 서비스가 모두 가능한 LTE-R은 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열차 안전 운행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활용된다.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연간 1억5000만명이 넘는 수송객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역사·차량기지, 관제센터에 LTE-R 기술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구간에 따라 총 3단계로 나뉘며, 2024년 12월까지 구축이 진행될 1단계 사업구간은 개화역부터 신논현역까지 총 25개 역사(총길이 25.5km)에 해당된다. 이 구간에는 9호선의 주요 환승역인 김포공항·당산·여의도·노량진·고속터미널 등이 포함된다.
지난해 12월 LG유플러스컨소시엄은 9호선 1단계 구간 LTE-R 구축 사업자로서 계약을 체결했다.
LTE-R의 끊임없는 영상신호를 통해 기관사는 역사 진입 400M 전방부터 승강장 화면을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크린도어 주변의 이상 유무와 안전사고 징후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수 있다. 객차 내 CCTV 영상은 기관사, 관제센터, 안전관리실로 실시간 공유돼 긴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LG유플러스는 앞서 서울 지하철 LTE-R 구축사업을 통해 직접 검증한 기술 및 장비를 활용하고, 특히 서울 지하철 LTE-R 제1관제센터를 약 2년간 운영해온 노하우로 동일 수준의 9호선 LTE-R 관제센터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LG유플러스 최택진 기업부문장(부사장)은 “LG유플러스가 서울 지하철 LTE-R 사업의 전 노선을 수행해온 전문성을 인정받아 9호선 1단계 LTE-R 구축의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면서 “컨소시엄간 긴밀한 협력으로 9호선만의 관제 및 승차경험을 혁신하고 향후 2~3단계 구간의 사업에도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자연재해·재난사고에도 중단 없다”…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 개통
- 주니퍼네트웍스, 공항철도 ‘ALL-IP기반 통신망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완료
- LGU+, 지하철 4호선 본선구간 ‘LTE-R’ 적용사업 본격화
- SKT, 철도공사 발주 ‘LTE-R’ 사업 추가수주…전라선 포함 4개 구간 확보
- SKT, 인천도시철도 LTE-R 구축 사업자로 선정
- KTCS-2 사업 본격화 나서는 KT, LTE-R/KTCS-2 기술연동·검증 성공
- 삼성·KT, 재난안전망 본사업 장비 공급계약 체결
- LGU+, 외국인 고객 대응 ‘4개 국어 채팅 상담’ 서비스 개시
- LGU+, 임직원이 만든 빵 소외계층과 나눈다
- 과기정통부, 28GHz 대역 주파수 할당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