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가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지정됐다.
밀양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는 2017년 5월 산업단지로 지정된 후 현재 조성공사 및 분양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스마트그린산업단지 기본계획(안)을 수립, 지난해 12월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지정을 요청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관계기관 협의 및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이번에 밀양 나노융합 스마트그린산업단지로 지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새만금 국가산업단지, 대구율하 도시첨단산업단지에 이어 세 번째 사례다.
전통적인 산업단지는 국가 경제성장의 핵심 공간이나 높은 에너지 소비, 환경 문제 등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 왔으며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2021년부터 산업단지를 신규로 조성하는 단계부터 신재생에너지 및 교통‧물류 등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해 스마트그린산업단지로 조성하고 있다.
스마트그린산업단지 기본계획은 에너지자립화, 디지털화, 친환경화 등 3개의 핵심 전략을 기반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수립하고 있다.
밀양 나노융합 스마트그린산업단지의 주요 계획으로는, 우선 에너지자립화 전략으로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25% 이상 저감을 위해 커뮤니티시설 지붕 등에 설치하는 태양광 발전설비(20MW) 및 수소연료전지 발전소(15MW)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계획하고 안정적 전력 운영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산업단지 내 전체 에너지의 사용량 예측과 실시간 분석을 위한 디지털플랫폼을 설치할 예정이다.
특히 밀양시에서는 수소연료전지 발전소와 에너지저장장치 설치를 위해 에너지 공공기관, 사업시행자(LH), 지자체(경남도/밀양시) 간 사업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폐열활용 순환시스템을 구축해 수소연료전지, ESS,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해 탄소배출을 저감할 계획이다.
디지털화 전략으로 개인용 모빌리티, 수소·전기 복합충전소 등 스마트교통 안전 인프라 구축을 통해 교통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제고하고, 첨단 ICT를 활용한 디지털트윈센터와 산단 내 각종 정보의 실시간 수집‧모니터링으로 위험 상황을 감지‧대처하는 통합안전시스템을 구축한다.
친환경 전략으로 주변 환경과의 조화 및 산단 내 환경개선 등 쾌적한 생산활동 공간과 종사자들의 정서 함양 도모를 위한 공간도 조성한다. 미세먼저 저감 및 산단 유출입 방지를 위한 미세먼지 차단 숲을 조성하고 미관 개선과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정희 국토부 국토정책관은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기업의 생산성을 지원하며 쾌적한 휴식공간도 포함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스마트그린산업단지가 정착·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고 산업단지가 탄소중립과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공간이 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국토부, ITS 혁신기술 공모사업…민간기술 발굴·도입 늘린다
- 철도·버스·택시 등 단일 앱에서 검색-예약-결제 가능해진다
- 국토부, 드론 기업 17곳 선정…상용화 지원 나선다
- 과기정통부, NIA·NIPA와 5G 융합서비스 실증 착수
- LGU+, 中企 대상 구독형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확장
- “5년 내 스마트팩토리 매출 7배 키운다”…LGU+, 솔루션 재편·확대
- LGU+, 여수 석유화학단지에 5G MEC 기반 ‘스마트산단’ 구축
- 국내 연구진, 금속 나노촉매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성능 2배 늘렸다
- 정부,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반 다진다…과기정통부, 18일 사업설명회
- 상해모터쇼 참가한 현대모비스, “올해 중국시장, 10억 달러 수주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