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공급망 재편 기회삼아 국내 반도체 경쟁력 키워야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미중 간 무역분쟁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산 비중이 크게 줄어든 반면 한국산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소폭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 영역에서 최대 수혜국은 대만과 베트남으로 조사됐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을 대상으로 주요국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8년∼2022년 중국의 점유율 하락(-18.5%p)을 기회로 대만(9.7%p), 베트남(7.3%p)은 점유율을 빠르게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점유율도 상승했지만 상승폭(1.8%p)은 상대적으로 소폭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의 점유율은 2018년 30.2%에서 2022년 11.7%로 크게 줄었다. 중국은 2000년대에 들어 점유율 1위를 줄곧 유지했으나 2018년 이후 하락하면서 지난해 4위로 떨어졌다. 

대만의 점유율은 2018년 9.5%에서 2022년 19.2%로 2배로 늘어나며 4위에서 1위로 등극했다.

[전경련 자료인용]
[전경련 자료인용]

2017년과 2018년 메모리 호황의 수혜를 본 한국의 점유율은 2017년 3위로 올라섰고 이후 중국의 입지 약화로 2022년 3위를 유지했다.

한국과 대만을 비교하면, 2018년 한국의 점유율이 대만을 1.3%p 상회했으나 최근 대만의 점유율 급상승으로 2022년 한국이 대만을 6.6%p 하회하며 양국 간 격차는 확대됐다.

미국은 국가안보 및 자국 공급망 강화를 내세우며 2018년부터 대중 수입 관세 부과 및 중국 기업에 대한 수출 제한 등 다양한 규제를 적용했다. 우선 대중 수입에 대해 2018년 3차례에 걸쳐 10~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2019년에도 기조를 이어갔다. 

동기간 미국정부는 미국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SW)를 직접 이용해 만들어진 부품·장비 등의 대중 수출을 제한하면서 중국기업들은 반도체 생산 및 반도체 역량 강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33.4%)인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중국의 입지 약화를 기회로 점유율을 늘리며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미국의 대중 수입액은 2018년∼2022년 96억7000만달러 감소(-58%)했는데, 동기간 대만 수입액은 75억6000만달러(327%) 증가, 베트남 수입액은 35억1000만달러(4038%) 증가, 한국 수입액은 25억8000만달러(52%) 증가하면서 중국의 공백을 신속하게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자료인용]
[전경련 자료인용]

이 결과 2018년∼2022년 컴퓨터 등의 부품은 중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에 15.0%p 기여한 반면 대만, 베트남, 한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상승에 각각 6.8%p, 3.5%p, 1.0%p 기여하면서 해당 품목이 미국 반도체 수입구조 재편에 핵심역할을 한 것으로 전경연은 분석했다.

한편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수입시장 중 고성장하는 품목에서의 입지 강화를 통해 점유율 확대를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재편에 따른 최대 수혜국은 대만과 베트남으로 한국의 점유율은 소폭 상승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우리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